필자가 작년(2024년도)에 기간제 교사를 했을 때, 7개월 계약이었는데 공개수업만 3번 했다. 통상적으로 2번인데 말이다. 왜 그런지는 알 수 없었으나 그냥 진행했다. '화폐 모형으로 편의점, 햄버거 가게에서 돈 계산하는 방법을 알기'를 주제로 설정하였는데, 옆 반 특수부장 선생님의 말씀대로 실제 음식으로 수업했다.

 

물론 강제는 아니고 계산만 하고 먹고 싶은 사람만 먹기로 했는데 컵라면, 콜라, 과자, 치즈, 감자튀김 등이 있었다. 그 중에서도 특히 감자튀김이 곤혹스러웠던 기억이 있는데, 아침 1~2교시에 진행될 공개수업에 감자튀김을 굽고 있을 여유가 없다. 교장선생님, 교감선생님이 앉아 계실 의자도 구비해야 하며 책상, 의자 또한 설계된 수업에 맞게끔 위치하여야 하고, 계산기 교구 또한 가져다 놓고 학생들에게도 아직 음식을 먹으면 안된다는 말도 해야하고 등등 공개수업 전에는 원래 이것 저것 많이 바쁘다. 감자튀김 따위 요리하고 있을 시간이 없다. 그래서 전날 미리 튀기고 냉장고에 넣어둔 후 당일 날 전자레인지에 데우는 방식을 구상했다.

 
 

 

위 표를 '지도안'이라고 부르는데, 지도안 중에서도 세부적으로 쓰는 '세안'과, 비교적 간단하게 쓰는 '약안'이 있다. 위 지도안은 세안에 속하는데, '수학'교과로서 화폐의 액면가를 이용한 계산보다는 편의점이나 햄버거 가게등에 가서 줄을 선 후 키오스크를 이용하거나 화폐를 직접 건네서 돈 계산하는 방법에 더욱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수업이다. 수학 교과는 '계열성'이 중요한 과목이라고도 한다. 계열성이란, 배우는 순서나 난이도를 처음엔 간단하고 쉬운 것에서, 점점 복잡하고 어려운 것으로 배워나간다는 성질을 의미한다. 특수교육에 정답은 없다. 실용적인 것 위주로 공개수업을 하고 싶다면 그렇게 해도 되고, 교과적인 것을 위주로 하고 싶다면 그렇게 해도 된다. 위 수업은 계열성에 목적을 둔 수업보다는 실생활에 적용가능한 실용적인 것에 초점을 둔 공개수업이었다. 또 공개수업은 사전협의회, 사후협의회가 있는데, 사전협의회에선 어떠한 수업을 할 것이며 어떻게 준비할 것인지 등 지도안과 함께 발표한다. 사후협의회에선 본인의 수업이 어떠하였고, 어떠한 점이 잘되거나 잘안되었고, 참관자들의 시점에서도 말씀을 듣게 된다. 물론 이 지도안을 만들 때 필자 혼자가 아닌 특수 부장님께서 첨삭 해주셨는데 그래서 더 완성도 있는 지도안이 나온 것 같다. 또 완성도 있다는 말은 필자가 한 말이 아니라 다른 선생님께서 해주신 말이다.

 

 

ppt도 활용했는데 조금 조촐하지만 쉽고 간편한 메뉴판이다 ㅋㅋ 그래도 학생들이 이걸 보면서 활동에 임하고 수행하는 모습을 보여주어서 정말로 별 것 아니지만 뿌듯하기도 한 그런 ppt였다...

 

 

필자가 기간제이지만 교사이던 시절 이런 공개수업도 하고 그랬던 경험이 있어서 올려본다. 사실 기간제 할거면 학기당 1번씩 하기는 한다. 정교사도 마찬가지. 그런데 이렇게 심혈을 기울이고 신경썼던 수업은 이 수업이 최고였던 것 같다. 인터넷에서 팔지 않아 음식을 사느라 필자의 집 주변 편의점을 찾아다녀야 했으며, 매대를 샀는데 조립이 되지 않았던 기억도 있고...말씀드린 감자튀김도 그렇고...여러므로 힘들었지만 그만큼 완성도 있다는 지도안이나 성장된 경험 정도 얻은 것 같다. 다음에도 기회가 있으면 수행했던 다른 공개수업을 올려볼까 한다. 물론, 학생들의 얼굴이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다 가리거나 안나오게끔 한 뒤 올릴 예정이다. 공개수업 때는 그런건 찍지도 않았지만 말이다. 어쩌다보니 이 블로그의 첫 번째 글이자 시작하는 기점이 임상장학 글이 되어버렸지만 ^^; 뭐 안될건 없다. 끝.

 

 

 

 

 

' > 특수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수교사의 장, 단점 그리고 현실  (0) 2025.06.0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