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저번 글에서도 일부 비슷하게 다루었었는데요,

 

오늘은 이 주제에 대해서 조금 더 깊숙히 들어가고자 합니다.

 

통상적으로, 경찰대학 영어는 사관학교 영어보다 어렵고,

 

사관학교 영어는 수능 영어보다 어렵다고 합니다.

 

경찰대학은 사관학교/수능이 그러하듯이

 

지문에 추상적이거나 추론적인 개념은 없습니다.

 

다만, 폭 넓은 배경 지식과 사관학교보다 더 어려운

 

어휘를 알아야 맞는 문제가 어느정도 있습니다.

 

또한, 특정 어휘를 모르면 아예 틀려버리는 문제들이

 

사관학교와 공통적으로 존재합니다.

 

사관학교는 수능과 같이 추상적이고 추론적인 문제가 있으나,

 

지문에서 그런 추론적인 문장을 보완해주는 문장은 따로 없습니다.

 

반면, 수능 영어는 추상적/추론적 지문이 있고,

 

그럴 경우에는 그 추상적 지문을 보완 설명해주는 문장이 존재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이상하게 경찰대학 영어가 더 쉽게 느껴졌습니다.

 

추상적/추론적 지문이 없어서 그런가봅니다.

 

그래서, 난이도는 경찰대학>사관학교>수능>모평 순으로 어렵습니다.

 

그러나, 제 블로그에 방문하시는 분들은 경찰대학 영어보다는

 

사관학교 영어를 더 많이 보시더라고요 ㅜㅜ

 

사실, 제가 하는 해설들이 영어 자체로 생각해서

 

푸는 직독직해라기 보다는 번역에 가깝죠.

 

번역은 국어도 잘해야 합니다. 국어를 잘해야 영어를

 

우리말로 맛깔나게 살릴 수 있기 때문이죠.

 

그래서 번역사 시험에서 국어도 보는 이유입니다.

 

경찰대학/사관학교/수능/모평 모두 적절하게 조절해서 올리겠습니다 ㅎㅎ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 벌써 추석이네요. 행복한 한가위 되시길 바랍니다.

 

영어로 말할 때, 문장을 길~게 늘리시고 싶으시다면, 그렇게 어렵지는 않습니다 ㅎㅎ

 

한 문장을 말씀하시고 나서 등위접속사를 말하고 더 이어나가시면 됩니다.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초/중급 수준에선 등위접속사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등위접속사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And(그리고)
  • Or(혹은)
  • So(그래서)
  • But(하지만)
  • Nor(~도 아니다)
  • Yet(아직)
  • For(왜냐하면) - '위해서'라는 뜻도 있지만 '왜냐하면'이라고 쓰이기도 합니다.

이유를 설명할 때는 Because보다 더 격식적인 표현이며, 서류나 공식적인 문서에서 쓰입니다.

 

 

혹은 It ~ that 구문을 사용할 수도 있고, If, Whether 등의 다른 유형의 접속사를 사용해도 됩니다.

 

하지만, 등위접속사를 사용하는 것이 더 편하고 간단하며 일반적입니다.

 

문맥에 따라서 한 가지를 골라 말씀하신 후, 이어서 말씀하시면 됩니다.

 

꼭 정해진 것은 아닌데, 저의 경우에는 등위접속사를 사용해서 늘리는 것이 제일 좋았어요.

 

감사합니다 ^^ 행복한 추석 되세요 ^^

 

 

 

 

 

 
 
Lameduck  - 美 비격식 레임덕, (재선이 안 될) 임기 말기의 정치인[정부]
 
Backlash - (사회 변화 등에 대한 대중의) 반발
 
Party - 당(黨)
 
Liberal party - 진보적인 정당
 
Conservative party - 보수적인 정당
 
a two party system - 양당제
 
Democracy - 민주주의
 
Democratic party - 민주당
 
Republic - 공화국
 
Republic Party - 공화당
 
Dictatorship - 독재
 
Senate - 상원
 
Assembly - 의회
 
Administration - 행정부
 
Jury system - 배심제
 
Universal suffrage - 보통 선거권
 
Communism - 공산주의
 
Socialism - 사회주의
 
Capitalism - 자본주의
 
Slavery - 노예제
 
Ochlocracy - 중우정치
 
Mayor - 시장(市長)
 
President - 대통령
 
Government - 정부



 
 

 

 

우리가 살다보면 응시해야 하는 많은 영어 시험들이 있죠.

 

세계화 시대가 끝났다고들 하지만 영어의 중요성과 기본은 여전히 중요하게 여겨지죠.

 

팍스 아메리카나의 시대에 미국의 헤게모니까지

 

자유/자본주의 국가들에서는 더더욱 중요시 여겨집니다.

 

특히나, 입시 관련된 영어는 대학에 입학하기 위한 필수 관문입니다.

 

대표적으로 내신과 수능으로 나뉘죠.

 

내신은 문법, 수능은 독해 위주인걸 우리는 다 알고 있습니다.

 

나머지 시험들은 어떨까요?

 

시험의 목적

 

내신 - 해당하는 교육과정 속에서 일정 성적을 취득하기 위해

 

수능 -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줄임말로, 말 그대로 대학에 가서 영어 원서로 공부할 수 있는지

 

토익 - 영어권에서 생활할 수 있는지

 

토플 - 영어권 중에서도 미국 대학/대학원들에서 강의를 들을 수 있는지

 

아이엘츠 - 영어권 중에서도 영국 연방 대학/대학원들에서 강의를 들을 수 있는지

 

사관학교/경찰대 - 자체적으로 만든 영어 시험

 

난이도

 

내신<토익<수능<사관학교, 경찰대<토플, 아이엘츠

 

개인마다 느끼는 것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통상적으로는 이렇습니다.

 

수능부터 사관학교, 경찰대 시험은 시간 싸움이기도 하죠.

 

수능은 한 문제에 1분 30초, 사관학교, 경찰대 시험도 1분 30초 정도합니다.

 

토플은 스피킹(말하기), 리스닝(듣기), 리딩(읽기), 라이팅(쓰기) 각 30점 만점에 총 120점 만점입니다.

 

특히나, 한국에서 나고 자란 토종들은 스피킹 24점 정도 가량에서 올리기가 사실상 불가능이라고도 하죠.

 

아이엘츠도 마찬가지로,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각 9점 만점입니다. 보통 영국 연방 대학/대학원에서는

 

평균 6.0에서 7.5정도 요구합니다. 한 과목에서 일정수준 이하의 점수여도 안되고요.

 

사관학교와 경찰대 영어를 푸는 학생들은 수능 영어보고 쉽다고 하기도 한다네요.

 

 

개인적인 의견

 

 

영어는 학문이나 지식이 아닌 언어입니다.

 

물론, 필요하겠지만 영어 시험들에서 점수를 매기는데

 

영어 내공이 깊은 사람은 어떤 시험을 봐도, 어떻게 시험을 봐도

 

크게 흔들리지 않습니다.

 

이 시험에서 높은 점수를 얻으면,

 

다른 시험에서도 높은 점수를 받을 확률이 높아집니다.

 

수학처럼 공식이 필요한 것이 아닌

 

자신의 또 하나의 언어이기 때문이죠.

 

어떤 시험이라도 상관없습니다.

 

영어 시험에서 높은 득점을 목표로 해보세요.

 

다양한 시험일수록 좋습니다.

 

아마 좋은 긍정적인 결과가 따라올 것입니다.

 

 

 

 

 

영어 회화를 하다보면 상대방이 'um, like, you know, actually, basically, really, well' 이런 단어를 섞어 쓰는 것을 발견하실 수 있으셨을겁니다.

 

우리말로 하면 '음, 그러니까, 사실, 저기뭐냐, 정말로, 진짜로' 정도가 되겠습니다.

 

일상에서 하는 회화에서는, 오히려 pause라는 말하다 잠깐 멈추는걸 막아주는 역할도 하기 때문에 큰 상관은 없습니다.

 

다만, 공식적인 석상이나, 공문서와 같은 곳에서는 사용하면 안될 뿐더러 말하기 시험에서는 감점 요소까지 됩니다.

 

너무 자주, 많이 사용하면 품격있는 문장과는 점점 거리가 멀어지게 되죠.

 

그래도 일상 회화에서는 사용 시 큰 문제는 없습니다.

 

우리들도 공식적인 곳이 아닌 일상 속에서

 

'음, 그러니까, 저기뭐냐, 사실' 이란 말들을 사용해도 별 문제가 안되는 것 처럼요.

 

이상 목발 단어의 뜻과 사용해도 되는 곳, 안되는 곳을 알려드렸습니다 ^^

 

 

 

 

 

Because는 뒤에 주어+동사가 옵니다.
Because of 는 뒤에 명사가 옵니다.

 

 

pros and cons는 장단점이란 뜻으로

 

His pros are ~ = 그의 장점은 ~이다.

His cons are ~ = 그의 단점은 ~이다.

 

라고도 표현합니다.

 

(생계를 위해) 무슨 일을 하시나요?
What do you do? 혹은 What do you do for living?

 

라고도 묻습니다.

 

그러면 I'm a special education teacher라고 자신의 직업으로 대답할 수 있겠습니다.

 

Despite, Although의 뜻은 둘 다 그럼에도 불구하고입니다.
차이점은 Despite는 뒤에 명사가 오고 Although는 뒤에 주어+동사가 오게됩니다.

 

They stuck in black and white
그들은 흑백 논리에 빠져있다.

 

무언가를 도 아니면 모, 2가지 중 하나로 생각하는 것을

흑백 논리라고 하죠. 흑백 논리는 black and white라고 해요.

 

 

 

 

🔹 기본적인 정중한 거절 표현:

"Thank you for the offer, but I’ll have to decline."

(제안해 주셔서 감사합니다만, 정중히 사양하겠습니다.)

"I really appreciate it, but I’m going to pass this time."

(정말 감사하지만, 이번에는 사양할게요.)

"I’m honored by the offer, but I must respectfully decline."

(제안해 주셔서 영광입니다만, 정중히 거절드려야 할 것 같아요.)

 

🔹 이유를 덧붙여 예의 있게 거절:

"That sounds like a great opportunity, but I’m currently focused on other commitments."

(좋은 기회로 들리지만, 현재 다른 일에 집중하고 있어서요.)

"I would love to, but I don’t think I can give it the time and energy it deserves."

(정말 그러고 싶지만, 충분한 시간과 에너지를 쏟기 어려울 것 같아요.)

"Unfortunately, my schedule won’t allow it at the moment."

(안타깝게도 지금은 일정상 어려울 것 같아요.)

 

🔹 거절 후에도 긍정적인 인상 남기기:

"Please keep me in mind for future opportunities."

(다음 기회에 꼭 다시 생각해 주세요.)

"I hope we can work together another time."

(다음에 함께할 기회가 있길 바랍니다.)

"I’m grateful for the thought, and I hope it goes well!"

(생각해 주셔서 감사드리며, 일이 잘되길 바랍니다!)

 

 

긍정도, 거절도 아닌 대답이 있죠. "봐서"라는 표현이 있답니다.

 

 

"It depends"가 그 표현이에요. 참고하세요.

 

 

 

💬 1. Could ~할 수 있을까요? (가능 여부를 공손하게 물을 때)

Could you help me?저를 도와주실 수 있을까요?

Could I ask you a question?질문 하나 드려도 될까요?

Could you please send me the file?파일을 보내주실 수 있으실까요?

 

💬 2. Would ~하시겠어요? (~할 의향이 있는지 공손하게 물을 때)

Would you like some coffee?커피 좀 드시겠어요?

Would you mind helping me?저 좀 도와주셔도 될까요?

Would it be okay if I sat here?여기 앉아도 괜찮을까요?

 

💬 3. Do you mind if/ Would you mind if… – ~해도 괜찮을까요?

Do you mind if I open the window?창문 좀 열어도 괜찮을까요?

Would you mind if I borrowed your pen?펜 좀 빌려도 괜찮을까요?

 

💬 4. I was wondering if… – 혹시 ~일까요? (매우 공손한 요청)

I was wondering if you could help me.혹시 도와주실 수 있을까 해서요.

I was wondering if I could take a day off.하루 휴가를 낼 수 있을까 해서요.

 

💬 5. Would it be possible to… – ~하는 것이 가능할까요?

Would it be possible to reschedule the meeting?회의를 다시 일정 잡는 것이 가능할까요?

 

💬 6. May I / Might I ~해도 될까요? (공식적이고 매우 공손)

May I ask a question?질문 드려도 될까요?

Might I suggest an idea?제안을 하나 드려도 괜찮을까요?

 

💡Tip: "please", "just", "if you don’t mind" 같은 단어를 함께 쓰면 더 부드럽고 공손한 느낌을 줄 수 있어요.

: Could you just wait a moment, please? Would you mind waiting a little bit, if that’s okay?

 

 

말하다.

 

  • Say: 내용을 말하다.
  • Tell: 정보를 알려주거나 이야기해주다.
  • Talk: 대화하다.
  • Speak: 연설하거나 특정 언어를 말하다.

 

적절한

 

 

"Proper"는 주로 도덕적 규범, 예의, 규칙 등과 관련하여 '올바른', '바람직한' 행동이나 태도를 의미하는 반면,

"appropriate"는 상황이나 목적에 '맞는', '적합한' 행동이나 선택을 나타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