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key feature of Karl Popper’s claim is that scientific laws always go beyond existing experimental data and experience.
Karl Popper가 주장하는 주된 특징은, 항상과학적 법칙이 실험적 자료와 경험 너머에도 존재한다는겁니다.
The inductive method attempted to show that, by building up a body of data, inferences can be made to give laws that are regarded as certain, rather than probable.
그것을 보여주기 위해 귀납적 방법을 시도했고, 자료와 추론의 형체를 만들 수 있게끔 하면서, 있을 것 같은 것보다는 확실한 것들에 관련된 법칙을 부여하였습니다.
Popper challenges this on the grounds that all sensation involves interpretation of some sort, and that in any series of experiments there will be variations, and whether or not such variations are taken into account is down to the presuppositions of the person conducting them.
Popper는 현장에서도 이것에 도전하였습니다 / 모든 선풍이 특정 종류의 이해와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 그리고 그 실험의 어떤 시리즈라도 변화가 있으며, 그 변화가 진행이 되던지 안되던지 고려하는 것은 그 실험을 수행하는 사람들의 예상 하에 있습니다.
Also, of course, the number of experiments done is always finite, whereas the number of experiments not yet done is infinite, so an inductive argument can never achieve the absolute certainty of a piece of deductive logic.
물론, 당연하게도 수 많은 실험들이 항상 한정적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반면, 실행이 아직 안된 수 많은 다른 실험들도 무한정적이며, 그래서 귀납적인 논쟁이 연역적 논리의 한 부분으로 완전히 성취할 수 없게끔 되는 이유입니다.
At the same time, scientists are likely to favour any alternative theories that can account for both the original, confirming evidence and also the new, conflicting evidence. In other words, progress comes by way of ______________.
동시에, 과학자들은대안적인 이론의 근원과, 확정짓는 근거 등을 설명하는 것을 그럴듯하게 만들었으며, 물론 그 새로운 근거도 대립하게 했습니다. 다른 말로, 과정은 ____________의 방식으로 다가옵니다.
① finding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cientific theories and pushing beyond them
(과학적 이론들이 존재하는 것의 한계를 찾고 그들을 압박하는 것)
② creating sustainable partnerships between scientists and decision-makers
(과학자들과 결정을 만드는 사람들 사이의 지속가능한 파트너쉽을 창조하는 것)
③ publishing research findings in the most reputable academic journals
(가장 평판이 좋은 학문적 저널속에서 발견한 연구들을 발행하는 것)
④ conducting scientific research generally through a proven process
(일반적으로 입증된 단계들을 통해 과학적 발견들에 착수하는 것)
⑤ encouraging innovation through funding from the government
(정부로 부터 받는 펀딩을 통해 혁신을 장려하는 것)
답 - 1번 ① finding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cientific theories and pushing beyond them
(과학적 이론들이 존재하는 것의 한계를 찾고 그들을 압박하는 것)
In other words, progress comes by way of finding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cientific theories and pushing beyond them.
For manufacturers, a product that is thrown away after being used, forcing the customer to keep coming back for more, creates endless profit potential; a potential first discovered in the years after World War I, when there was a great need to find new uses for the (A) abundance / lack of materials produced for the war piled high in warehouses.
제조자들을 위해서, 사용한 뒤 버려진 제품들을 소비자에게 다시끔 돌아가게 강제하는 것이, 더 많은, 끝없는 잠재적인 이윤을 창조해냅니다; 그 잠재력은 1차 세계대전 이후 처음으로 발견되었습니다, 막대한 필요성이 있었을 때 / 새로운 사용을 찾기 위해서 / 전쟁을 위해 창고에 높이 쌓인 생산된 재료들의 (A) abundance / lack 을 위해서
For example, an absorbent material made from celluloid that had been used for military bandages and gas mask filters later gained a new use as the disposable Kotex sanitary napkin.
예를 들면, *셀룰로이드에서 온 흡수력 있는 재료들은, 붕대, 가스 마스크 필터 등 군사적으로도 사용되었습니다 / 나중에 나온 재활용 가능한 코텍스(여성 위생용품), 위생 냅킨들로서도 새롭게 사용되었습니다.
*셀룰로이드 - 과거 영화 필름에 쓰던 물질
Manufacturers also had to figure out how to transform the wartime ethic of thrift and reuse― darning socks, keeping odd pieces of string, using tea leaves to clean carpets, and sewing rags into rugs―into a culture that embraced “throwaway habits” and the (B) hesitation / willingness to spend money on new“stuff.”
제조자들은 또한, 전쟁 중에 절약과 재활용을 어떻게 변환하는지 알아내려고 했습니다― 양말을 꿰매고, 불완전한 것들과, 카펫을 씻기 위해 차(茶)잎을 사용하고, 해진 천을 바느질 하는 것 등― "버리는 습관"이라는 황당한 문화 속에서 / 그리고 새로운 "물건"을 사기를 (B) hesitation / willingness 하는지 아닌지
During the war, the U.S. government produced posters declaring “Waste Not, Want Not.” By late 1917, the government was giving shops across the country signs to display in their windows reading, “Beware of Thrift and Unwise Economy” to help (C) encourage / restrain repetitive consumption.
전쟁 동안, 미국 정부는 선언을 하는 포스터들을 생산해냈습니다. "낭비하지 않고, 원하지 말라" 1917년 후반에, 그 정부는 국가를 가로질러, 상점들에게 읽도록 창문에 전시하게끔 했습니다. "절약과 현명하지 못한 경제에 깨어있어라" 라는 문구를 통해 반복적 소비를 (C) encourage / restrain 하게 돕기 위해서.
(A) (B) (C)
① abundance ...... hesitation ...... encourage
② abundance ...... willingness ...... restrain
③ abundance ...... willingness ...... encourage
④ lack ...... hesitation ...... restrain
⑤ lack ...... willingness ...... encourage
abundance - 풍부
lack - 부족
hesitation - 망설임
willingness - 기꺼이 하기
encourage - 격려하다
restrain - 저지하다
답 - 3번 ③ abundance ...... willingness ...... encourage
When we look in the mirror, we see some of the “instruments” necessary for choice.
거울을 볼 때, 우리는 선택을 하기 위해서 필요한 "수단들"을 봅니다.
Our eyes, nose, ears, and mouth gather information from our environment, while our arms and legs enable us to act on it.
우리의 눈, 코, 귀, 그리고 입은 우리의 환경으로부터 정보를 모읍니다 / 팔과 다리가 그것에 작용하는걸 가능하게 하는 동안에
We depend on these capabilities to effectively negotiate between hunger and satiation, safety and vulnerability, even between life and death.
우리는 이 능력들에 의존적입니다 / 효과적으로 협상하는 것을 / 배고픔과 포만감, 안전과 불안정성, 그리고 심지어 삶과 죽음에까지
Yet our ability to choose involves more than simply_________________. Your knee may twitch if hit in the right place by a doctor’s rubber mallet, but no one would consider this reflex to be a choice.
아직, 우리의 선택하는 능력들은 단순히_____________하는 그 이상입니다 / 어쩌면 여러분의 무릎이 옳바른 장소에서 *까닥하여 칠지도 모릅니다 / 의사의 고무 망치에 의해 / 하지만 아무도 이 반사작용이 선택되어진 것이라고 여기지 않습니다.
*의학적으로, 앉은 상태에서 무릎을 치면, 반사작용으로 다리가 튀어오르게 됩니다. 화상을 당할 때도 반사작용을 하는데, 마찬가지로, 그런 자극들은 뇌까지 도달하지 않고, 척추의 중추신경계에서 받아들여져 의식적인 명령 없이 자동적이고 빠르게 반응하는 무의식적 현상입니다. 즉, 이러한 반사작용은 의식적으로 선택해서 하지는 않는다는거죠.
To be able to truly choose, we must evaluate all available options and select the best one, making the mind as vital to choice as the body.
진정으로 선택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가능한 모든 옵션들을 평가해야만 하고, 그 중에서 가장 좋은 것을 선택해야합니다 / 이 때, 신체만큼이나 마음의 선택 또한 중요합니다.
①reacting to sensory information
(감각적 정보에 반응하는 것)
②giving into your utmost desires
(극한의 욕망에 굴복하는 것)
③selecting what is most beneficial
(가장 이득이 되는 것을 고르는 것)
④searching for instant gratification
(즉각적인 만족감을 찾는 것)
⑤suppressing your natural instincts
(여러분의 자연적인 직관을 금하는 것)
답 - 1번 ①reacting to sensory information
(감각적 정보에 반응하는 것)
Yet our ability to choose involves more than simply reacting to sensory information.
There is no question that starting a business is easier when you are younger.
더 어렸을 때, 사업을 시작하는 것이 더 쉽다는건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The fewer nonwork responsibilities you have, the more likely you are to pour your blood, sweat and tears into a new venture.
여러분들이 업무와 무관한 책임감을 덜 가질수록, 새로운 벤처사업에 피와, 땀과, 눈물을더 많이 퍼부어야 할 것입니다.
But that does not mean you should leave school or your job to start a company just because you are young.
하지만 그건 여러분들이 단지 어리다는 이유로 학교나 직장을 떠나야 한다는 뜻은 아닙니다.
Venture capitalists often favor fresh meat. Michael Moritz of Sequoia Capital, one of Silicon Valley’s biggest VC firms, has gushed about how entrepreneurs in their mid to late 20s “see no boundaries, see no limits, see no obstacle that they cannot hurdle.”
벤처 사업의 자본가들은 종종 *새로운 사람에게 호의를 보입니다 / *실리콘 밸리의 가장 큰 *VC 회사 중 하나인 Sequoia Cpital 이라는 회사의 Michael Moritz라는 사람은, 20대 중반에서 후반기의 사업가들에게 "그들이 넘을 수 없는 경계를 보지 말고, 한계를 보지 말며, 장애물들을 보지 말라"라며 분출합니다.
*여기서 새로운 사람(신선한 고기)는 새롭게 벤처 사업을 시작한 사람을 뜻합니다. 학교에서 신입생들이나 1학년을 freshman이라고 부르는 것 처럼 말이죠.
*실리콘 밸리 - 미국 서부의 캘리포니아 주에 있는 샌프란시스코의 IT, 컴퓨터 과학 등의 회사들이 몰려있는 지역을 뜻합니다.
*VC - Venture firm이라는 회사로, 장기적 성장 가능성이 있는 스타트업 및 중소기업에 투자하여 자금을 제공하는 회사를 말합니다.
Still, start-ups in some industries, such as biotech and business software, gain an edge from the experience that comes with a founder’s age.
여전히, 바이오 테크나 비즈니스 소프트웨어와 같은 특정 산업의 스타트업 회사들은, 설립자들의 나이와 함께 오게 되는 경험으로부터 이점을 얻습니다.
According to research by a tech entrepreneur, the average age of successful start-up founders in these and other high growth industries was 40.
테크 사업가들의 연구에 따르면, 이 성공적인 스타트업 회사들이나 높은 성장을 보여주는 산업 설립자들의 평균 나이가 40세였습니다.
It goes to show that if you have the financial resources, the right network and, most important, a great idea,_______________________.
만약 여러분들이 경제적인 자원을 가지고 있다면, 그것은 보여줍니다 / 옳바른 네트워크와, 가장 중요한건, 훌륭한 생각들이________________________하다는 것을.
①inner success is the reward
(내적인 성공이 보상이다)
②age is nothing but a number
(나이는 아무것도 아니며 숫자에 불과하다)
③it all comes down to who you know
(여러분들이 아는 사람에게 전해 내려오는 것)
④the last piece of the puzzle is capital
(퍼즐의 마지막 남은 조각은 자본이다)
⑤youth will always find a way to prevail
(젊음은 항상 승리할 길을 찾는다)
답 - 2번 ②age is nothing but a number
(나이는 아무것도 아니며 숫자에 불과하다)
It goes to show that if you have the financial resources, the right network and, most important, a great idea, age is nothing but a number
The world of business is one area in which______________.
비즈니스의 세계에서 ___________은 하나의 영역입니다.
Many people now work alone at home.
많은 사람들이 이제 집에서 혼자 일합니다.
With access to a large central computer, employees such as secretaries, insurance agents, and accountants do their jobs at display terminals in their own homes.
중앙 컴퓨터에 접속하는 것과 함께, 비서, 보험 대리점, 회계사와 같은 근로자들은 그들의 일을 집에서 합니다.
They no longer have to actually see the people they’re dealing with.
더이상 그들이 다루는 사람들을 직접 보면서 일할 필요가 없어졌습니다.
In addition, employees are often paid in an impersonal way.
덧붙여, 근로자들은 종종 비개인적인 방법으로 봉급을 받습니다.
Workers’ salaries are automatically credited to their bank accounts, eliminating the need for paychecks.
근로자들의 봉급은 은행 계좌를 통해 자동으로 입금되고, 급료 봉투의 필요성을 없앱니다.
Fewer people stand in line with their coworkers to receive their pay or cash their checks.
옛날보다 더 적은 수의 사람들이 그들의 봉급이나 돈을 받기 위해 그들의 직장 동료와 함께 줄을 섭니다.
Finally, personal banking is becoming a detached process.
마침내, 개인적인 은행이 분리된 단계가 되었습니다.
Customers interact with machines rather than people to deposit or withdraw money from their accounts.
소비자들은 사람보다는 기계와 상호작용합니다 / 입금하거나 계좌로부터 돈을 억제하기 위해서
Even some bank loans are approved or rejected, not in an interview with a loan officer, but by a computer program.
심지어 은행 대출이 승인되거나 거절되는 것이, 대출 상담사와의 인터뷰를 통해 되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①technology is isolating us
(기술이 우리를 고립시키는 것)
②employees are being overworked
(근로자들이 항상 추가근무하게 되는 것)
③artificial intelligence benefits humans
(AI가 사람에게서 득을 얻다)
④managing finances is the top priority
(돈 관리를 최우선순위로 두는 것)
⑤human resources are evenly allocated
(인류 자원들이 할당되다)
답 - 1번 ①technology is isolating us
(기술이 우리를 고립시키는 것)
The world of business is one area in which technology is isolating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