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key feature of Karl Popper’s claim is that scientific laws always go beyond existing experimental data and experience.

 

Karl Popper가 주장하는 주된 특징은, 항상 과학적 법칙이 실험적 자료와 경험 너머에도 존재한다는겁니다.

 

The inductive method attempted to show that, by building up a body of data, inferences can be made to give laws that are regarded as certain, rather than probable.

 

그것을 보여주기 위해 귀납적 방법을 시도했고, 자료와 추론의 형체를 만들 수 있게끔 하면서, 있을 것 같은 것보다는 확실한 것들에 관련된 법칙을 부여하였습니다.

 

Popper challenges this on the grounds that all sensation involves interpretation of some sort, and that in any series of experiments there will be variations, and whether or not such variations are taken into account is down to the presuppositions of the person conducting them.

 

Popper는 현장에서도 이것에 도전하였습니다 / 모든 선풍이 특정 종류의 이해와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 그리고 그 실험의 어떤 시리즈라도 변화가 있으며, 그 변화가 진행이 되던지 안되던지 고려하는 것은 그 실험을 수행하는 사람들의 예상 하에 있습니다. 

 

Also, of course, the number of experiments done is always finite, whereas the number of experiments not yet done is infinite, so an inductive argument can never achieve the absolute certainty of a piece of deductive logic.

 

물론, 당연하게도 수 많은 실험들이 항상 한정적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반면, 실행이 아직 안된 수 많은 다른 실험들도 무한정적이며, 그래서 귀납적인 논쟁이 연역적 논리의 한 부분으로 완전히 성취할 수 없게끔 되는 이유입니다.

 

At the same time, scientists are likely to favour any alternative theories that can account for both the original, confirming evidence and also the new, conflicting evidence. In other words, progress comes by way of ______________.

 

동시에, 과학자들은 대안적인 이론의 근원과, 확정짓는 근거 등을 설명하는 것을 그럴듯하게 만들었으며, 물론 그 새로운 근거도 대립하게 했습니다. 다른 말로, 과정은 ____________의 방식으로 다가옵니다.

 

 

 

① finding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cientific theories and pushing beyond them

(과학적 이론들이 존재하는 것의 한계를 찾고 그들을 압박하는 것)

 

② creating sustainable partnerships between scientists and decision-makers

(과학자들과 결정을 만드는 사람들 사이의 지속가능한 파트너쉽을 창조하는 것)

 

③ publishing research findings in the most reputable academic journals

(가장 평판이 좋은 학문적 저널속에서 발견한 연구들을 발행하는 것)

 

④ conducting scientific research generally through a proven process

(일반적으로 입증된 단계들을 통해 과학적 발견들에 착수하는 것)

 

⑤ encouraging innovation through funding from the government

(정부로 부터 받는 펀딩을 통해 혁신을 장려하는 것)

 

 

 

 

답 - 1번 ① finding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cientific theories and pushing beyond them

(과학적 이론들이 존재하는 것의 한계를 찾고 그들을 압박하는 것)

 

 

In other words, progress comes by way of finding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cientific theories and pushing beyond the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