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연합뉴스) 박상현 특파원= 교육을 받은 적이 없는 농부의 가정에서 출생. 정규교육은 18개월간 학교를 다닌 것이 전부.

22살 때 사업에 실패, 23살때 주 의회 선거에 낙선, 25살때 또 사업에 실패. 연방 하원의원 선거에 세번 낙선, 상원의원 선거에도 낙선. 부통령 후보 지명에도 고배.

 

51살에 마침내 미국 대통령에 당선. 미국 역사가들과 정치평론가들 사이에 가장 위대한 대통령에 대한 설문조사 때마다 거의 매번 1위에 오르는 에이브러햄 링컨의 이력은 가난과 좌절, 실패로 점철돼 있다.

 

학력이라고 내세울 만한 게 없는 링컨은 독학으로 변호사가 될 때까지 오하이오강의 나룻배 사공에서부터 잡화점의 점원, 우체국장, 측량기사 등의 여러 직업을 전전했다.

 

훗날 링컨은 "겨울에도 팔꿈치가 드러나는 해진 옷을 입었고 발가락이 튀어나오는 낡은 구두를 신었다"고 궁핍했던 젊은 시절을 술회했다.

 

숱한 선거에서 패했지만 선거 유세중 노예제 폐지를 주장하는 연설로 전국적인 명성을 얻은 링컨이 1860년 2월 뉴욕의 엘리트 정치 지도자들의 초청을 받아 연설했을 때 청중들은 깜짝 놀랐다.

 

서부의 시골뜨기인 링컨의 남루한 옷차림에 뉴욕 상류인사들로 이뤄진 청중들이 놀랐을 뿐만 아니라 그의 연설내용이 이들의 흉중을 뒤흔들었기 때문이다.

 

교통수단이나 미디어가 제대로 발달되지 않았던 19세기 중반, 보잘 것없는 경력의 링컨이 전국적인 유명 정치인으로 성장할 수 있게 한 것은 빈틈없는 논리로 무장한 토론 실력과 청중을 사로잡는 언변이었다.

 

1809년 2월12일 일리노이에 인접한 켄터키의 시골 하젠빌의 통나무집에서 태어난 링컨은 정규교육을 받을 기회가 거의 없었고 그의 부모 역시 학교 문턱을 밟아본 적이 없었다.

 

이런 링컨은 어려서 풍부한 독서를 통해 정규교육을 받은 사람들 이상으로 폭넓고 깊은 지식을 습득했다.

게티즈버그 연설과 대통령 취임사 등 그의 명연설문들은 모두 자신이 직접 쓴 것이다.

링컨탄생 200주년 美전국 추모무드

(하젠빌<美켄터키주>=연합뉴스) 안수훈 특파원 = 오는 12일 에이브러햄 링컨 전 미국 대통령 탄생 200주년을 앞두고 미 전역에서 추모열기가 고조되고 있다. 사진은 링컨 대통령이 소년시절을 보낸 노브 크릭 농장 모습. 왼쪽의 작은 집은 당시 오두막집을 재현해 놓은 것. 2009.02.09. ash@yna.co.kr

 

여러 직업을 전전하고 사업의 실패로 굴절을 겪던 링컨은 23살의 나이로 정계의 문을 두드렸다.

 

1832년 일리노이 주의회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지만 2년 후 주의회 진출에 성공했다. 주의원을 4차례 연임한 후 연방 하원의원에 도전했지만 숱하게 낙선의 고배를 마셨다.

 

1846년 하원의원에 당선됐지만 2년 단임에 그치고 고향에서의 변호사 생활로 돌아갔다.

 

1858년 연방 상원의원 선거전에 뛰어들어 민주당의 거물정치인 스티븐 더글러스와 경쟁을 벌였다.

당시 선거전에서 링컨은 "갈라진 집안은 제대로 설 수가 없다. 노예제를 시행하는 주(州)와 모든 인간의 자유를 신봉하는 주(州)로 갈려 미국 정부가 유지될 수 없다"면서 노예제 폐지를 주장하며 7차례 걸쳐 더글러스와 열띤 토론을 벌였다.

 

선거에서는 패했지만 일약 전국적인 유명인사가 된 링컨은 1860년 공화당의 후보 지명을 받아 제16대 미국 대통령에 당선됐다.

 

종전까지는 미국의 모든 대통령은 대륙의회에 참가한 13개주 출신들 일색이었으나 켄터키의 변방 태생이 대통령이 된 것은 링컨이 최초였다.

 

대통령 당선 직후 노예제 폐지에 반발한 남부 주들의 연방 이탈로 분열의 위기속에 남북전쟁이 발발하자 링컨은 북부의 여러 세력들을 조정하면서 점진적으로 노예해방을 단행하고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다.

 

게티즈버그에서 막대한 전사자가 발생하면서 전세가 한때 위기로 몰리고 북부내에서도 강강.온건파간의 격렬한 대립속에 정치적 파국의 위기를 맞았으나 1863년 11월 게티즈버그 묘지에서 행한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국민의 정부는 이 땅에서 영원히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라는 명연설로 단합을 이끌어내고 전세의 승기를 잡을 수 있었다.

 

1864년 재선에 성공한 후 이듬해 남북전쟁이 종결되는 상황을 지켜봤으나 남군의 항복 이틀후 워싱턴의 포드 극장에서 남부 출신의 배우 존 윌크스 부스에 의해 암살당했다.

 

암살당한 링컨은 노예해방과 남북전쟁으로 분열의 상처가 극심했던 미국에서 순교자의 반열에 올랐다.

 

탄생 200년을 맞은 지금 미국에서 링컨이 여전히 추앙받는 이유는 가난을 딛고 성실과 정직으로 대통령까지 올라 순교했기 때문만은 아니다.

 

대통령 후보 경선과정에서 자신의 정적이었던 인물을 내각의 국방장관과 재무장관으로 기용한 링컨은 포용력과 통합의 리더십을 통해 연방의 분열 위기를 극복하고 상처를 치유, 지금의 초강대국 미국의 토대를 마련했기 때문이다.

 

shpark@yna.co.kr

 

출처 : <링컨 200주년> ①파란만장한 생애..영욕 56년 | 연합뉴스

 

<링컨 200주년> ①파란만장한 생애..영욕 56년 | 연합뉴스

(워싱턴=연합뉴스) 박상현 특파원= 교육을 받은 적이 없는 농부의 가정에서 출생. 정규교육은 18개월간 학교를 다닌 것이 전부.

www.yna.co.kr

 

대한민국의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민심은 천심이라 했습니다.

 

링컨의 애민정신은 정말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본받을만합니다.

 

저도 표현은 안하지만 마음 속 깊은 곳에 국민여러분들이 있습니다.

 

이리 깨지고, 저리 깨져도 제 마음 속엔 국민여러분들만 있습니다.

 

링컨의 생애를 보면, 우리말의 '칠전팔기'라는 말이 떠오르곤 합니다.

 

일곱 번 넘어져도 여덟 번 일어난다는 뜻인데요,

 

그것이 링컨과 같이 정치라는 분야였던, 사업가의 물질이라는 분야였던, 저의 행복이라는 것이였던간에 말이죠.

 

여러분도 무언가 도전하실 때, 링컨처럼, 포기하지 마시고 꼭 이루시길 바랍니다.

 

또한, 저도 링컨의 애민정신을 본받아 국민여러분들께 충성을 다하고 본을 받겠습니다.

 

 

 

 

'좋은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풍을 견딘 사과  (0) 2025.08.19
세상에 버릴 사람  (0) 2025.08.14
전라북도 교육청 공모전 최우수상  (0) 2025.06.23
행복이란?  (0) 2025.06.14
우유 한 잔의 가치  (0) 2025.06.1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