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조선일보] [옛 시조 한 수] 천마리 머나먼 길에

 

● 현대어 풀이

천리만리 멀고 먼 길에 그리운 임과 이별하고

내 마음 둘 곳 없어 냇가에 앉아 있으니,

저 냇물도 내 마음 같아서 울며 밤길을 가는구나.

*예놋다: 가는구나. 예다'는 '가다', '놋다'는 '~는구나'의 옛말.

 

● 작품 배경

이 시조를 쓴 왕방연(?~?)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자 시인입니다. 세조 때 금부도사(왕의 명을 받아 죄인을 다스리는 관청인 의금부의 책임자)로 일했습니다. 역사적으로는 단종을 유배지로 데려가 사약을 전달한 사람으로 알려졌습니다.

'천만리 머나먼 길에'는 세조의 왕위 찬탈로 도성을 떠나게 된 단종의 귀양길을 함께한 왕방연의 비통한 심정이 잘 묻어나는 작품입니다. 어린 왕을 강원 영월에 유배하고 홀로 돌아오는 길, 왕방연은 흐르는 냇물 소리마저 우는 듯 슬프게 들렸나 봅니다.

역사는 당시를 '사약을 가지고 온 금부도사 왕방연이 감히 사약을 전달하지 못하고 오열하고 있을 때 단종을 모시던 심부름꾼 복득이란 자가 활시위로 목을 졸라 단종을 죽음에 이르게 했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예림당 '교과서 중심 우리 대표 옛 시조' (안희웅 엮음)

 

 

 

'문화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 안에 켜있는 촛불  (0) 2025.06.29
[韓詩] 금준미주천인혈 (춘향전 이몽룡의 시)  (0) 2025.06.29
 
[어린이조선일보] [옛 시조 한 수] 방 안에 혓는 촛불

 

● 현대어 풀이

방 안에 켜 있는 촛불은 누구와 이별하였기에

겉으로 눈물 흘리면서 속이 타들어 가는 줄도 모르는가.

저 촛불도 나와 같아서 속이 타는 줄 모르나 보구나.

*혓는: 켜 있는.

 

● 작품 배경

이개(1417~1456)는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으로 호는 백옥현(白玉軒)입니다. 세종 때 집현전 학사로 일하며 훈민정음을 만드는 데 참여했습니다. 사육신의 한 사람으로 성삼문 등과 함께 단종 복위 운동을 꾀하다가 발각돼 고문 끝에 처형당했습니다.

'방 안에 혓는 촛불'은 이개가 단종을 그리워하며 지은 시조입니다. 세조가 어린 조카 단종에게서 왕위를 빼앗았을 때, 신하 이개는 그 과정을 바라보며 눈물을 흘리는 것밖에는 아무것도 할 수 없었습니다. 이개는 겉으로 촛농이 흐르고 속으로는 심지가 타들어 가는 촛불의 모습을 자신의 슬픈 마음에 비유했습니다. 어린 왕을 생각하며 눈물짓고 애태우는 심정이 절절하게 드러납니다.

예림당 '교과서 중심 우리 대표 옛 시조' (안희웅 엮음)

'문화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만리 머나먼 길에  (0) 2025.07.07
[韓詩] 금준미주천인혈 (춘향전 이몽룡의 시)  (0) 2025.06.29

 

 

   / 금준미주 천인혈

금동이의 아름답게 빚은 술은 일천 백성의 피요(백성의 피)

  / 옥반가효 만성고

옥쟁반의 맛좋은 안주는 만 백성의 기름이라 (백성의 살이라)

  / 촉루락시 민루락

촛불의 눈물이 떨어질 때 백성의 눈물 떨어지니

  / 가성고처 원성고

노랫소리(풍악소리) 높은 곳에 원망소리 높도다. 

 

'문화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만리 머나먼 길에  (0) 2025.07.07
방 안에 켜있는 촛불  (0) 2025.06.2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