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 미국, 정확하게는 1880년 여름,
가가호호를 방문해서 이것저것을 파는 가난한 고학생 젊은이가 있었습니다.
그렇게 하루 종일 방문판매를 다녔고, 저녁이 되었을 때에는 지쳤고, 배가 고팠습니다.
주머니에는 다임(10센트) 동전 하나 밖에는 없었고,
그것으로는 적당한 것을 먹을 수도 없었습니다.
다음 집에 가서는 먹을 것을 좀 청해 봐야지 하면서 발걸음을 옮겼고, 그 집문을 두드렸습니다.
이윽고 문이 열리고, 예쁜 소녀가 나왔습니다.
젊은이는 부끄러워서 배고프다는 말을 못했고 다만 물 한잔만 달라고 했습니다.
그러나 그 소녀는 이 사람이 배가 고프다는 사실을 알았고, 그래서 큰 컵에 우유 한 잔을 내왔습니다.
젊은이는 그 우유를 단숨에 마셨고, 새로운 힘이 나는 듯 했습니다.
그리고는 얼마를 드려야 하냐고 물었습니다.
소녀는 그럴 필요가 없다고,
'엄마는 친절을 베풀면서 돈을 받지 말라고 하셨다'고 말했습니다.
젊은이는 이 말에 큰 깨우침을 얻었습니다.
그로부터 십 수 년이 지난 후, 그 소녀는 중병에 걸렸고, 그 도시의 병원에서는 감당 할 수 없는 병이라고 했습니다.
다행히 병원의 의사는 큰 도시의 전문의를 불러오면 고칠 수 있다고 했고,
그래서 오게 된 의사는 하워드 켈리(1858-1943년) 박사,
그 소녀에게 우유 한 잔을 얻어마셨던 바로 그 젊은이였습니다.
그때 방문 판매를 했던 그 고학생 하워드 켈리는 산부인과 분야에서는
독보적인 존재로 명문 존스홉킨스 의과대학의 창설멤버이기도 했습니다.
하워드 켈리 박사는 환자를 보고 한 번에 그녀임을 알아보았고,
지금까지 개발된 모든 의료기술을 동원해서 그녀를 치료했습니다.
결국 부인과 질환으로 상당히 힘든 케이스였음에도 불구하고 마침내 치료에 성공했습니다.
하워드 켈리 박사는 치료비 청구서를 보냈습니다.
퇴원할 때가 되자, 환자는 자신의 병이 치료된 것에 대한 기쁨보다 병원비 걱정이 앞섰습니다.
도대체 병원비가 얼마나 될까? 앞으로 평생을 벌어도 모자라지는 않을까? 를 걱정하고 있는데,
하워드 켈리는 병원비 청구서를 환자에게 전할 때 청구서 귀퉁이에 이렇게 적었습니다.
“당신의 치료비는 1880년 늦은 봄 어느 날, 한 잔의 우유값으로 이미 받았습니다.”
그 옛날, 자신에게 우유 한잔의 친절을 베풀어준 소녀가 환자였고, 그 소녀를 알아본 하워드 켈리박사는 그 소녀의 친절함을 잊지 않고 보답한 것입니다.
친절은 부메랑과 같은 것입니다. 내가 베푼 친절은 누군가에게 행복이 되고, 또다시 내게도 행복으로 돌아옵니다.
따라서 항상 선행(善行)의 중심에 서 있도록 모두가 최선(最善)을 다하는 삶이되기를 소망(所望)합니다.
출처 : https://k5696.tistory.com/m/471?category=2415666
우유 한잔의 치료비
우유 한잔의 치료비 19세기 미국, 정확하게는 1880년 여름, 가가호호를 방문해서 이것저것을 파는 가난한 고학생 젊은이가 있었습니다. 그렇게 하루 종일 방문판매를 다녔고, 저녁이 되었을 때에
k5696.tistory.com
≪상주시민신문≫ 우유 한잔의 선행(善行)
상주문화원장 김 철 수 박사1889년에 세워진 존스 홉킨스병원(Johns Hopkins Hospital)은 20년 동안 연속 미국 병원 랭킹 1위를 차지하고 있는 명문 병원이며, 20
www.sjpeople.kr
'좋은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상에 버릴 사람 (0) | 2025.08.14 |
---|---|
파란만장한 생애 (0) | 2025.07.10 |
전라북도 교육청 공모전 최우수상 (0) | 2025.06.23 |
행복이란? (0) | 2025.06.14 |
행복은 마음먹기에 달려있다. (0) | 2025.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