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영훈 일산연세마음상담의원 원장
 
 진료실 창밖으로 산책줄을 단 강아지들이 지나간다. 꼬리를 흔들며 세상의 냄새를 모조리 수집하려는 그들 곁을, 창틀 위 고양이는 눈만 반쯤 뜬 채 지켜본다. 강아지는 무리에 기대어 움직임 속에서 안심을 얻고, 고양이는 익숙한 햇빛 자리에 몸을 말아 평온을 찾는다. 어느 날 문득, 자폐 스펙트럼 당사자들이 이 둘 중 누구와 더 닮았느냐를 묻는 우리의 태도 자체가 잘못된 질문일지 모른다는 생각이 뇌리를 스치고 지나갔다. 닮음이 아니라 다름의 권리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진료실에서 나는 “왜 저렇게 소리를 지르죠?”라는 질문을 자주 듣는다. 그러나 소리는 공격이기보다 구조 요청일 때가 많다. 불규칙한 형광등, 알 수 없는 향, 예기치 않은 접촉 - 새로운 자극이 한꺼번에 밀려오는 순간, 세계는 그들에게 홍수처럼 넘친다. 우리가 흔히 ‘문제행동’이라 부르는 몸짓은, 침수된 방에서 물을 퍼내려는 동작과 같다. 낯선 마트 대신 익숙한 동선을 고집하고, 예고 없는 변화에 멈춰 서는 일은, 살기 위한 기술이다.

 

그럼에도 사회는 “강아지처럼 매일 밖으로 나와 무리에 적응하라”고 요구한다. 교육의 이름으로 더 큰 소음과 더 잦은 접촉을 주입하고, 버티지 못하면 약을 늘린다. 약이 필요 없는 건 아니다. 극심한 불안과 자해의 고리를 끊어 잠시 숨을 고르게 해주는 약물은 분명하게 제 몫을 한다. 하지만 약이 ‘우리 기준’에 맞추기 위한 족쇄가 되어서는 안 된다. 치료의 목표는 순응이 아니라 고통의 완화, 그리고 자기 방식의 생활을 회복하는 일이어야 한다.

 

 

나는 오늘도 보호자에게 묻는다. “산책이 꼭 필요할까요, 아니면 창가 햇빛이 더 큰 안심일까요?” 예고 가능한 시간표, 소음이 적은 공간, 질감과 향을 선택할 권리, 대화의 속도를 조절할 여유-이런 작고 구체적인 조정들이 자폐적인 삶을 덜 고통스럽게 만든다. 우리는 고양이에게 강아지의 리듬을 가르치는 대신, 고양이의 리듬을 존중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다름을 훈육의 대상으로 보지 않을 때, 비로소 그들의 세계도 -그리고 우리의 세계도- 조용히 숨을 쉬기 시작한다.

 

 

일산연세마음상담의원 원장

 

 

 

 

 

'큰 그릇은 늦게 만들어진다'는 뜻으로, 크게 될 사람은 더디게 성장한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

- ‘대기만성’의 유래삼국시대 위(魏)나라에 최염(崔琰)이라는 이름난 장군이 있었어요. 그에게는 최림(崔林)이라는 사촌동생이 있었는데, 외모도 빈약하고 출세가 늦어 주위 사람들로부터 무시를 당하기 일쑤였죠. 하지만 최염 장군은 그의 재능을 꿰뚫어 보고 이렇게 말하였어요. "큰 종이나 큰 솥은 그렇게 쉽사리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마찬가지로 큰 인물도 성공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법이다. 내가 보기에 너도 그처럼 대기만성형이다. 좌절하지 말고 열심히 노력해라. 그러면 틀림없이 네가 큰 인물이 될 것이다." 과연 그의 말대로 최림은 후일 천자를 보좌하는 삼공(三公)이라는 큰 벼슬에 이르게 되었답니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높은 산의 꼭대기에 오르는 것 처럼, 성취하기 어렵고 힘든 일들은 내려가는 하락도 힘듭니다.

 

얕은 산에 올라가면, 그만큼 내려가기도 쉬운 것처럼 말이죠.

 

교육은 본래 백년지대계(百年之大計)라고도 합니다.

 

백년 앞을 내다보는 큰 계획이라는 뜻인데

 

인스턴트와 같이 즉각적으로 결과가 나오는 것도 아니며

 

하루하루가 모여, 오랜기간이 쌓여 큰 그릇이 된다는거죠.

 

개인적으로 대기만성을 이루고 싶지는 않습니다.

 

청빈하고 가난을 즐기며 학문과 정신 수양에 정진하는 사람이 되고싶네요.

 

원래 자기 인생 자기가 사는겁니다 ㅎ

 

오늘도 각자 맡은 바의 최선을 다하기로 해요.

 

 

 

 

 

 

 

 미국의 제35대 대통령 존  F. 케네디가 미국항공우주국(NASA)를 방문했을 때 있었던 일화입니다.

 

대통령은 건물의 로비를 지나다 콧노래를 부르며 바닥을 닦고 있는 한 청소부에게 다가가서 말을 걸었습니다.

 

"아니, 청소하는 일이 그토록 즐겁습니까?"

 

그러자 청소부는 자신에 찬 어조로 대통령에게 대답했습니다.

 

"대통령님, 저는 단지 청소를 하고 있는게 아닙니다. 인류를 달에 보내는 일을 돕고 있지요."

 

 인생에서 성공한 사람은 이처럼 자신이 하는 일을 즐기는 사람이라 할 수 있습니다. 자신이 하는 일을 사명감으로 감당하며 즐길 줄

 

아는 사람이야말로 성공을 누리는 사람이라는 말입니다. 흔히 사람들은 주어진 일을 마지못해 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런 이유로

 

일은 일대로 하면서도 여전히 만족감을 얻지 못하는 것이 사실입니다. 자신의 일에 만족하지 못하는 이유는 일에 대한 소명감이 없

 

기 때문입니다. 행복의 비밀은 좋아하는 일을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하고 있는 일을 좋아하는 데 있습니다.

 

 

 

 

 

 

 

시선으로 불리는 당나라 시인 이백이 어렸을 때의 이야기이다.

이백은 아버지의 임지인 촉나라의 성도에서 자랐다.

그 때 훌륭한 스승을 찾아 상의산에 들어가 공부했는데

어느날 공부에 싫증을 느끼고 스승에게 말도 하지 않고 산을 내려왔다.

산을 내려온 이백이 냇가에 이르자 한 노파가 도끼를 들고는 바위에다 열심히 갈고 있었다.

이백이 노파에게 물었다.

"할머니, 지금 뭐하고 계시는 겁니까?"

"바늘을 만들기 위해 도끼를 갈고 있는 중이란다(磨斧作針)."

"저렇게 큰 도끼를 갈아서 어느 세월에 바늘이 만들어지겠어요?"

"반드시 만들어질 게야. 중도에 그만두지만 않는다면 말이야."

이백은 중도에 그만두지만 않는다면 바늘이 반드시 만들어지리라는 말을 듣고 크게 느낀 바 있어

다시 산으로 올라가 수업에 정진했다고 한다.

풀이: 도끼를 갈아서 바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참고 계속하면

언젠가는 반드시 성공함을 비유한 말이다.

(磨: 갈 마, 斧: 도끼 부, 作: 만들 작, 針: 바늘 침)

출처: 재미있는 이야기 고사성어

(참교육기회, 플러스마인드)

'좋은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기만성(大器晩成)과 안빈낙도(安貧樂道)  (0) 2025.09.23
'NASA'의 청소부  (0) 2025.09.15
시라쿠사 동상 이야기  (0) 2025.08.25
태풍을 견딘 사과  (0) 2025.08.19
세상에 버릴 사람  (0) 2025.08.14

 

 

 
 
'그리스'의 시라쿠사
거리에는 명물 동상이 하나 있습니다.
세계 각지에서 몰려온 관광객들이
이 명물의 우스꽝스러운
모습에 웃음을 터뜨린답니다.
그러나 처음엔 동상의 모습에 웃지만,
동상 아래 새겨진 글을 읽어 보고는
모두들 감동을 받고 깊이 생각에
잠기게 됩니다.
관람객들이 처음 이 동상을 보고
웃는 이유는 벌거벗은 채로 모양은 사람인데,
그 동상의 앞머리는 머리숱이 무성하고
뒷머리는 완전한 대머리이며,
양 발 뒤꿈치에는 날개가 달려 있고,
한 손에는 저울을 쥐고 있으며,
다른 한 손에는 칼을 들고 있는
이상한 모습을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 *카이로스 동상 앞에 새겨진

에피그램(Epigram 短詩)은

"내 앞머리가 무성한 이유는
내가 나타났을 때 사람들이
나를 쉽게 붙잡을 수 있게 하기 위함이며,
내 뒷머리가 대머리인 이유는
내가 지나고 나면 다시는
나를 잡을 수 없게 하기 위함이요,

 

손에 들고 있는 칼과 저울은

나를 만났을 때 신중하게 바르게 판단하고

신속하게 의사 결정을 하라는 뜻이다.

등과 발에 날개가 달린 이유는
최대한 빨리 사라지기 위함이다.
 
나의 이름은 "기회"이다.”

 

기회는 눈에 보이지 않아 누구에게나

다가가며, 기회라고 생각될 때 그 옳고

그름을 판단하여 신속하고 냉철한

결단을 내려야 합니다.

숨이 붙어있는 오늘이 기회입니다.

내일은 오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헬라어에는 시간(때)을 두 가지로 표현합니다.

"크로노스"와 "카이로스"가 그것입니다.

"크로노스"는 단순히 흘러가는 시간이며,

"카이로스"는 때나 혹은 기회로 결정적인

순간을 말합니다 .

우리들의 인생에서 돌아오지 않는 것
네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가, "입 밖으로 나온 말" 이고
둘째는, "시위를 떠난 화살"이며
셋째가, "흘러간 세월"이고
네 번째는, "놓쳐버린 기회"랍니다.
무엇이든 행하시길 권면합니다.
지금이 당신이 사랑하고 베풀고
기뻐하고 행복하고 감사할
오늘이 기회이기 때문입니다.

 

시라쿠사(Siracusa Syracusa)

이탈리아 시칠리아 섬의 남동쪽

해안에 있는 도시..

 

'좋은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NASA'의 청소부  (0) 2025.09.15
마부작침(磨斧作針, 도끼를 갈아서 바늘을 만든다)의 뜻과 유래  (0) 2025.09.03
태풍을 견딘 사과  (0) 2025.08.19
세상에 버릴 사람  (0) 2025.08.14
파란만장한 생애  (0) 2025.07.10

 

 

일본 국내에도 이름으로 성공한 유명한 사례가 있다. 1991년 일본의 최대 사과 생산지로 유명한 아오모리현에 태풍이 불어 닥쳤다. 잘 익어가는 사과는 강력한 태풍으로 인해 대부분 땅에 떨어졌다고 한다. 농부들은 망연자실했고, 한 해 농사를 망친 것에 대해 한숨만 내쉬고 있었는데, 사과를 치우던 어느 농부가 아직 떨어지지 않은 몇 개의 사과를 발견한다. 그 때 번뜩이는 아이디어가 농부의 머릿속을 스쳤다. 그는 아직 떨어지지 않는 사과를 잘 포장하여 별명을 붙여 주었다. ‘태풍에도 떨어지지 않는 사과’의 탄생이다. 사과가 판매되는 시기가 대학교 입시 시즌과 맞물리면서 농부의 사과는 절대 떨어지지 않는 '합격 사과'가 되어 불티나게 팔렸다. 태풍으로 인해 일반 사과보다 맛도 덜하고, 모양도 곱지 않았지만 태풍을 견딘 사과였기에 사람들은 기꺼이 비싼 값을 주고 사과를 샀다고 한다. 지금도 ‘합격 사과’는 아오모리현의 명물이 되어 매우 고가로 일본 전국에 판매가 되고 있다. ‘떨어지지 않는 사과’ 즉, ‘합격 사과’라는 이름이 아오모리의 사과 농가를 구제한 셈이다.

 

출처 : 매드타임스(MADTimes)(https://www.madtimes.co.kr)

 

 

https://youtu.be/tW_8yH9aRwI?si=oGdVXCceLLJ7KI-6

 

'좋은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라쿠사 동상 이야기  (0) 2025.08.25
태풍을 견딘 사과  (0) 2025.08.19
파란만장한 생애  (0) 2025.07.10
전라북도 교육청 공모전 최우수상  (0) 2025.06.23
행복이란?  (0) 2025.06.14

 

(워싱턴=연합뉴스) 박상현 특파원= 교육을 받은 적이 없는 농부의 가정에서 출생. 정규교육은 18개월간 학교를 다닌 것이 전부.

22살 때 사업에 실패, 23살때 주 의회 선거에 낙선, 25살때 또 사업에 실패. 연방 하원의원 선거에 세번 낙선, 상원의원 선거에도 낙선. 부통령 후보 지명에도 고배.

 

51살에 마침내 미국 대통령에 당선. 미국 역사가들과 정치평론가들 사이에 가장 위대한 대통령에 대한 설문조사 때마다 거의 매번 1위에 오르는 에이브러햄 링컨의 이력은 가난과 좌절, 실패로 점철돼 있다.

 

학력이라고 내세울 만한 게 없는 링컨은 독학으로 변호사가 될 때까지 오하이오강의 나룻배 사공에서부터 잡화점의 점원, 우체국장, 측량기사 등의 여러 직업을 전전했다.

 

훗날 링컨은 "겨울에도 팔꿈치가 드러나는 해진 옷을 입었고 발가락이 튀어나오는 낡은 구두를 신었다"고 궁핍했던 젊은 시절을 술회했다.

 

숱한 선거에서 패했지만 선거 유세중 노예제 폐지를 주장하는 연설로 전국적인 명성을 얻은 링컨이 1860년 2월 뉴욕의 엘리트 정치 지도자들의 초청을 받아 연설했을 때 청중들은 깜짝 놀랐다.

 

서부의 시골뜨기인 링컨의 남루한 옷차림에 뉴욕 상류인사들로 이뤄진 청중들이 놀랐을 뿐만 아니라 그의 연설내용이 이들의 흉중을 뒤흔들었기 때문이다.

 

교통수단이나 미디어가 제대로 발달되지 않았던 19세기 중반, 보잘 것없는 경력의 링컨이 전국적인 유명 정치인으로 성장할 수 있게 한 것은 빈틈없는 논리로 무장한 토론 실력과 청중을 사로잡는 언변이었다.

 

1809년 2월12일 일리노이에 인접한 켄터키의 시골 하젠빌의 통나무집에서 태어난 링컨은 정규교육을 받을 기회가 거의 없었고 그의 부모 역시 학교 문턱을 밟아본 적이 없었다.

 

이런 링컨은 어려서 풍부한 독서를 통해 정규교육을 받은 사람들 이상으로 폭넓고 깊은 지식을 습득했다.

게티즈버그 연설과 대통령 취임사 등 그의 명연설문들은 모두 자신이 직접 쓴 것이다.

링컨탄생 200주년 美전국 추모무드

(하젠빌<美켄터키주>=연합뉴스) 안수훈 특파원 = 오는 12일 에이브러햄 링컨 전 미국 대통령 탄생 200주년을 앞두고 미 전역에서 추모열기가 고조되고 있다. 사진은 링컨 대통령이 소년시절을 보낸 노브 크릭 농장 모습. 왼쪽의 작은 집은 당시 오두막집을 재현해 놓은 것. 2009.02.09. ash@yna.co.kr

 

여러 직업을 전전하고 사업의 실패로 굴절을 겪던 링컨은 23살의 나이로 정계의 문을 두드렸다.

 

1832년 일리노이 주의회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지만 2년 후 주의회 진출에 성공했다. 주의원을 4차례 연임한 후 연방 하원의원에 도전했지만 숱하게 낙선의 고배를 마셨다.

 

1846년 하원의원에 당선됐지만 2년 단임에 그치고 고향에서의 변호사 생활로 돌아갔다.

 

1858년 연방 상원의원 선거전에 뛰어들어 민주당의 거물정치인 스티븐 더글러스와 경쟁을 벌였다.

당시 선거전에서 링컨은 "갈라진 집안은 제대로 설 수가 없다. 노예제를 시행하는 주(州)와 모든 인간의 자유를 신봉하는 주(州)로 갈려 미국 정부가 유지될 수 없다"면서 노예제 폐지를 주장하며 7차례 걸쳐 더글러스와 열띤 토론을 벌였다.

 

선거에서는 패했지만 일약 전국적인 유명인사가 된 링컨은 1860년 공화당의 후보 지명을 받아 제16대 미국 대통령에 당선됐다.

 

종전까지는 미국의 모든 대통령은 대륙의회에 참가한 13개주 출신들 일색이었으나 켄터키의 변방 태생이 대통령이 된 것은 링컨이 최초였다.

 

대통령 당선 직후 노예제 폐지에 반발한 남부 주들의 연방 이탈로 분열의 위기속에 남북전쟁이 발발하자 링컨은 북부의 여러 세력들을 조정하면서 점진적으로 노예해방을 단행하고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다.

 

게티즈버그에서 막대한 전사자가 발생하면서 전세가 한때 위기로 몰리고 북부내에서도 강강.온건파간의 격렬한 대립속에 정치적 파국의 위기를 맞았으나 1863년 11월 게티즈버그 묘지에서 행한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국민의 정부는 이 땅에서 영원히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라는 명연설로 단합을 이끌어내고 전세의 승기를 잡을 수 있었다.

 

1864년 재선에 성공한 후 이듬해 남북전쟁이 종결되는 상황을 지켜봤으나 남군의 항복 이틀후 워싱턴의 포드 극장에서 남부 출신의 배우 존 윌크스 부스에 의해 암살당했다.

 

암살당한 링컨은 노예해방과 남북전쟁으로 분열의 상처가 극심했던 미국에서 순교자의 반열에 올랐다.

 

탄생 200년을 맞은 지금 미국에서 링컨이 여전히 추앙받는 이유는 가난을 딛고 성실과 정직으로 대통령까지 올라 순교했기 때문만은 아니다.

 

대통령 후보 경선과정에서 자신의 정적이었던 인물을 내각의 국방장관과 재무장관으로 기용한 링컨은 포용력과 통합의 리더십을 통해 연방의 분열 위기를 극복하고 상처를 치유, 지금의 초강대국 미국의 토대를 마련했기 때문이다.

 

shpark@yna.co.kr

 

출처 : <링컨 200주년> ①파란만장한 생애..영욕 56년 | 연합뉴스

 

<링컨 200주년> ①파란만장한 생애..영욕 56년 | 연합뉴스

(워싱턴=연합뉴스) 박상현 특파원= 교육을 받은 적이 없는 농부의 가정에서 출생. 정규교육은 18개월간 학교를 다닌 것이 전부.

www.yna.co.kr

 

대한민국의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민심은 천심이라 했습니다.

 

링컨의 애민정신은 정말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본받을만합니다.

 

저도 표현은 안하지만 마음 속 깊은 곳에 국민여러분들이 있습니다.

 

이리 깨지고, 저리 깨져도 제 마음 속엔 국민여러분들만 있습니다.

 

링컨의 생애를 보면, 우리말의 '칠전팔기'라는 말이 떠오르곤 합니다.

 

일곱 번 넘어져도 여덟 번 일어난다는 뜻인데요,

 

그것이 링컨과 같이 정치라는 분야였던, 사업가의 물질이라는 분야였던, 저의 행복이라는 것이였던간에 말이죠.

 

여러분도 무언가 도전하실 때, 링컨처럼, 포기하지 마시고 꼭 이루시길 바랍니다.

 

또한, 저도 링컨의 애민정신을 본받아 국민여러분들께 충성을 다하고 본을 받겠습니다.

 

 

 

 

'좋은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풍을 견딘 사과  (0) 2025.08.19
세상에 버릴 사람  (0) 2025.08.14
전라북도 교육청 공모전 최우수상  (0) 2025.06.23
행복이란?  (0) 2025.06.14
우유 한 잔의 가치  (0) 2025.06.12

 

 

 

 

 

'좋은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상에 버릴 사람  (0) 2025.08.14
파란만장한 생애  (0) 2025.07.10
행복이란?  (0) 2025.06.14
우유 한 잔의 가치  (0) 2025.06.12
행복은 마음먹기에 달려있다.  (0) 2025.06.08



 

행복은 작습니다.

거창하고 큰 것에서 찾지 마세요.

멀리 힘들게 헤매지 마세요.

비록 작지만, 항상 당신 눈앞에 있답니다.

 

 

행복은 이기적입니다.

자신을 돌보는 사람만이 가질 수 있습니다.

남의 시선 따위는 무시해 버려요.

스스로 행복하지 않으면

아무도 도울 수 없답니다.

 

 

행복은 연습입니다.

그냥 주어지는 행운의 습관이 아닙니다.

부지런히 노력하고 연습해야

얻을 수 있는 열매입니다.

가는 길은 만 갈래지만 방법은 하나랍니다.

 

 

행복은 투자입니다.

미래가 아닌 현재를 위해 남김없이 투자하세요.

지금 행복하지 않으면 내일도 마찬가지입니다.

오늘을 온전하게 쓸 수 있어야 한답니다.

 

 

 

 

 

행복은 공기입니다.

때로는 바람이고, 어쩌면 구름입니다.

잡히지 않아도 느낄 수 있고,

보이지 않아도 알 수 있답니다.

 

 

행복은 선물입니다.

어렵지 않게 전달할 수 있는 미소이기도 하고,

소리 없이 건네 줄 수 있는 믿음이기도 합니다.

가장 달콤한 포옹이랍니다.

 

 

행복은 소망입니다.

끝없이 전달하고픈 욕망입니다.

하염없이 주고 싶은 열망입니다.

결국엔 건네주는 축복입니다.

 

 

행복은 당신입니다.

지금 이 순간 존재하는 당신입니다.

 

 

 

소식받기 하시고 매일 좋은생각 하세요^^

▶ 마음의 좋은글 ◀ 누르시면 이동합니다.

▶ 소식받기 클릭 ◀ 누르시면 이동합니다.

 

==============================

 

☞ 보고또보는 명언/좋은글귀 모음 ☜

 

1. 하루를 시작하는 아침의 한 줄

https://me2.do/G3btarIk

 

2. 인연을 지키는 7가지 방법

https://me2.do/5W8agDgV

 

3. '진정으로 원하는 것' 찾는 7가지 방법

https://me2.do/GeMY8HFA

 

4. 혜민스님의 좋은말씀

https://me2.do/5Ltf09o4

 

5. 부드럽게 거절하는 7가지 방법

https://me2.do/xm8fNTQY

 

 

 

 

여러분들께 항상 좋은글귀 좋은생각을 드리고 싶은 "마음의 좋은글" 입니다.

혹시라도 궁금하실 분이 계실까봐 자기소개글을 남겼답니다.

제 소개글을 보시고 싶으신분들은 카테고리에서 "저를 소개할게요" 카테고리를 눌러주세요. ^^

 

 

출처 : https://fineword.tistory.com/m/248 행복이란?

 

행복이란?

행복은 작습니다.거창하고 큰 것에서 찾지 마세요.멀리 힘들게 헤매지 마세요.비록 작지만, 항상 당신 눈앞에 있답니다. 행복은 이기적입니다.자신을 돌보는 사람만이 가질 수 있습니다.남의 시

fineword.tistory.com

 

 

'좋은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상에 버릴 사람  (0) 2025.08.14
파란만장한 생애  (0) 2025.07.10
전라북도 교육청 공모전 최우수상  (0) 2025.06.23
우유 한 잔의 가치  (0) 2025.06.12
행복은 마음먹기에 달려있다.  (0) 2025.06.0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