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tch the birds in your backyard.
뒷마당의 새들을 보세요
If one bird startles and flies off, / others will follow, / not waiting around to assess whether the threat is real.
만약 새 하나가 깜짝 놀라서 날아가버리면, / 다른 새들도 따라갑니다, / 그 위협이 진짜인지 아닌지 평가하느라 기다리지 않고요.
They have been infected by emotional contagion.
그들은 감정적 전염에 감염된 것입니다.
(B) In a long-term research project / that Marc did with some of his students / on patterns of antipredatory scanning by western evening grosbeaks, they found that birds in a circle showed more coordination in scanning than did birds who were feeding in a line.
Marc가 그의 제자 중 몇몇과 함께 한 / 긴 기간동안의 연구에서 / 서쪽 저녁 콩새류에 의해 비 포식자를 훑어보는 것 등 행동 양식을 향한 연구에서 / 그들은 원형으로 존재하는 새들이 더 많은 협력을 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 한 줄로 먹이를 먹는 새들보다
(C) The birds in a line, / who could only see their nearest neighbor, / not only were less coordinated when scanning, / but also were more nervous, / changing their body and head positions significantly / more than grosbeaks in a circle, / where it was possible for each grosbeak / to see every other grosbeak. [3점]
한 줄로 되어있는 새들은, / 가장 가까이 있는 이웃 새만 볼 수 있습니다, / 훑어볼 때 더 적은 협력을 하는 것 뿐만이 아니라 / 더 많이 긴장되고, / 그들의 몸과 머리 자세를 상당하게 바꾸고 / 각 콩새류가 모든 다른 콩새류를 볼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원형에 / 있을 때 보다 더
(A) Marc wondered whether the birds in line were more fearful / because they didn’t know what their flockmates were doing.
Marc는 한 줄로 있는 새들이 더 많이 공포스러워 하는지 아닌지 궁금했습니다 / 왜냐하면 새들이 그들의 짝이 무엇을 하는지 모르기 때문에
Emotional contagion would have been impossible / for individual grosbeaks / in the linear array except with their nearest neighbors.
감정적 전염은 불가능해왔습니다 / 콩새류 개개인에게 / 가장 근처의 이웃 새를 제외하고 일렬로 배열되었기 때문에
(B)에서는 콩새류들과 같이 일렬로 배열된 새들이
원형으로 배열된 새들보다
더 긴장감을 느끼고, 덜 협력적이다라는
일렬<원형
사실을 발견했다고 합니다.
(C)는 새들의 일렬 배열의 단점을 나열하고 있습니다.
(A)에서는 Marc가 콩새류들이 일렬로 배열되었기에 더 긴장하는지 궁금했다고 하네요
원형으로 배열 되어있는 새들은 서로를 잘볼 수 있기 때문에
긴장감을 덜 느끼고 협력적이고 시야도 넓어서 감정 전염이 가능하지만,
한 줄로 배열되어 있는 새들은 시각적으로 이웃 새들을 잘 볼 수 없기 때문에
더 긴장감을 느끼고, 자세를 바꾸게 된다고 되어있습니다.
즉, 일렬 배열로 인해 시각이 좁아져서 옆에 있는 새를 보지 못하기 때문에
따라 날아가는 것을 하지 못한다고 하네요.
따라가는 것을 감정 전염이라고 하고요.
답은 - 3번 (B) - (C) - (A)
'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수능 영어 40번 문제 (0) | 2025.06.21 |
---|---|
말하다의 네 가지 뜻, 적절한의 두 가지 뜻 (0) | 2025.06.21 |
2025 수능 영어 20번 문제 (0) | 2025.06.20 |
2025 수능 영어 30번 문제 (0) | 2025.06.19 |
2025 수능 영어 32번 문제 (0) | 2025.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