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진행되고 있는 이스라엘-하마스 전쟁과는 아무런 상관없는 포스팅임을 알려드립니다.

유대인들의 전통 의상입니다.

유대인들은 어디서 기원했으며 어째서

수 천년에 가까운 시간동안 나라 없이 방랑하며

핍박을 받아왔을까요? 그리고, 현대에 와서

어떻게 세계를 호령하게 되었을까요?

간단하게 알아봅시다.

위 사진의 노란색 부분이 유다 왕국의 영역입니다.

유대인들은 과거 '유다 왕국'이라는 국가의 민족이었습니다.

하지만, 신바빌로니아 제국의 침략으로

기원전 586년경에 멸망하게 됩니다.

이후 2차, 3차 귀환을 하게 되지만,

끝내 완전한 귀환에는 실패합니다.

그러한 후에 2,000년을 방랑합니다.

중세 유럽의 유대인들은 각 나라의 농노(농장의 농민)와 같이 살 수는 있을지언정

그 나라 국적이 아니기에 농사가 허락되지 않았습니다.

농사를 못지으니 그당시 천시 받았던 상업이나 수공업을 해야만 했습니다.

당시 돈은 유대인에게 생명줄이나 마찬가지였습니다.

그런데, 유대인들은 남다른 장사꾼 기질이 있었고

이는 타고난 것이라기보다 그들의 지식과 교양에서 유래된 것이었습니다.

유대인들은 어디서나 유대교의 가르침에 따라 항상 공부하며 살았기 때문에

교육수준이 높았으며

쓰기와 계산은 물론이고 신용과 계약을 목숨처럼 여겨 상도의 정신이 투철했습니다.

또한 세계 각처에 흩어져 있는 유대인 커뮤니티를 통해 긴밀히 정보를 교환하고

장사거리를 찾아내 서로 도우며 살았습니다.

중세 교회에서는 돈을 빌려주는 행위를 죄악시 했는데

이는 곧 유대인들의 몫이 되었습니다.

전세계를 떠돌아다니며 핍박과 박해를 받는 유대인들은

돈이 곧 자신들을 지켜줄 유일한 것이었고

이로 인해 그 때 당시의 사람들은 유대인들을 보고

돈 앞에서는 피도 눈물도 없는 사람들로 통했습니다.

위 사진은 '베니스의 상인'의 한 장면인데,

고리대금업자 샤일록과 그에게 돈을 빌린 사람과의 재판을 하는 이야기인데

바로 여기서 고리대금업자 샤일록을 유대인으로 풍자했다고도 하네요.

그만큼, 유대인들은 자신들을 지켜줄 것은 돈이 유일했으며

생명줄과도 같이 생각했습니다.

'로스차일드'라는 유대계 가문은 현재 재산이 5경 정도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그 돈을 지키기 위해, 외부인보다는 가문 내의 사촌까지 결혼과 출산이 가능했으며

돈을 관리할 변호사 또한 외부인보다는 가문 내의 인물이 담당했다고 합니다.

계보가 이어져오면서 이스라엘의 건국 또한 도왔다고도 하며

주식을 할 때 '세력'이라고 불리는 존재가 바로 이 로스차일드 가문의 자본이라는 말도 존재합니다.

빌헬름 9세의 재산을 지키면서부터 유럽 거부 금융가로 떠오르게 된 가문이기도 합니다.

 

 

주커버그(Zuckerberg)와 게이츠(Gates), 스필버그(Spielberg), 버핏(Buffett) 등

미국의 유명인사들의 성이 유대인 성인 것만으로도

유대인들이 미국을 움직이는 하나의 주된 축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수시 제도가 유대인으로 인해 생겨났다고 하는 말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미국에 아이비리그라는 명문대 라인이 있는데

유대인들의 비율이 너무 높고 장악하다시피 하여

백인들이 뚫고 들어가기가 심히 힘들어

만든 제도가 수시제도인데, 우리나라로도 왔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사실, 유대인들은 처음엔 동양인이었지만

나중엔 우리가 흔히 아는 동양인은 아니라고 합니다.


본래 살던 땅을 떠나, 전 세계에 흩어져 사는 민족이나 집단을 뜻하는 디아스포라.

비록 2천년 정도를 전세계로 떠돌며 갖은 핍박과 박해, 차별 등을 받아왔으나

오히려 그것으로부터 자신들을 지켜줄 것은 돈 뿐이라는 것을 깨달아

일찍이부터 금융업과 상업, 심지어 고리대금업까지

세계의 경제사와 유대인은 한 축을 이룬다고도 합니다.

탈무드에도 유대인들이 핍박을 받으면서 생긴 지혜가 적혀있다고도 하죠.

안네의 일기도 부각되는 이유가, 있으면 안되는 일이기도 하고, 현대 사회에서

유대인들의 세계를 호령하는 그 막강한 힘에도 영향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현대시대에는 국적이라는 개념보다는 돈이 더 중요시 되고 힘이 되는 세계라서

유대인들에게 더더욱 적합한 세상이 된 것 같습니다.

또, 그러한 유대인들의 헤게모니로 인해 여러 가지 음모론들도 많은 것이 사실입니다.

세계 인구의 0.2%를 차지하지만, 세계를 뒤흔드는 유대인들의

이야기를 매우 간략하게 다루어봤습니다.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

 

저번 글에서도 일부 비슷하게 다루었었는데요,

 

오늘은 이 주제에 대해서 조금 더 깊숙히 들어가고자 합니다.

 

통상적으로, 경찰대학 영어는 사관학교 영어보다 어렵고,

 

사관학교 영어는 수능 영어보다 어렵다고 합니다.

 

경찰대학은 사관학교/수능이 그러하듯이

 

지문에 추상적이거나 추론적인 개념은 없습니다.

 

다만, 폭 넓은 배경 지식과 사관학교보다 더 어려운

 

어휘를 알아야 맞는 문제가 어느정도 있습니다.

 

또한, 특정 어휘를 모르면 아예 틀려버리는 문제들이

 

사관학교와 공통적으로 존재합니다.

 

사관학교는 수능과 같이 추상적이고 추론적인 문제가 있으나,

 

지문에서 그런 추론적인 문장을 보완해주는 문장은 따로 없습니다.

 

반면, 수능 영어는 추상적/추론적 지문이 있고,

 

그럴 경우에는 그 추상적 지문을 보완 설명해주는 문장이 존재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이상하게 경찰대학 영어가 더 쉽게 느껴졌습니다.

 

추상적/추론적 지문이 없어서 그런가봅니다.

 

그래서, 난이도는 경찰대학>사관학교>수능>모평 순으로 어렵습니다.

 

그러나, 제 블로그에 방문하시는 분들은 경찰대학 영어보다는

 

사관학교 영어를 더 많이 보시더라고요 ㅜㅜ

 

사실, 제가 하는 해설들이 영어 자체로 생각해서

 

푸는 직독직해라기 보다는 번역에 가깝죠.

 

번역은 국어도 잘해야 합니다. 국어를 잘해야 영어를

 

우리말로 맛깔나게 살릴 수 있기 때문이죠.

 

그래서 번역사 시험에서 국어도 보는 이유입니다.

 

경찰대학/사관학교/수능/모평 모두 적절하게 조절해서 올리겠습니다 ㅎㅎ

 

감사합니다 ^^

 

 

 

 

A key feature of Karl Popper’s claim is that scientific laws always go beyond existing experimental data and experience.

 

Karl Popper가 주장하는 주된 특징은, 항상 과학적 법칙이 실험적 자료와 경험 너머에도 존재한다는겁니다.

 

The inductive method attempted to show that, by building up a body of data, inferences can be made to give laws that are regarded as certain, rather than probable.

 

그것을 보여주기 위해 귀납적 방법을 시도했고, 자료와 추론의 형체를 만들 수 있게끔 하면서, 있을 것 같은 것보다는 확실한 것들에 관련된 법칙을 부여하였습니다.

 

Popper challenges this on the grounds that all sensation involves interpretation of some sort, and that in any series of experiments there will be variations, and whether or not such variations are taken into account is down to the presuppositions of the person conducting them.

 

Popper는 현장에서도 이것에 도전하였습니다 / 모든 선풍이 특정 종류의 이해와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 그리고 그 실험의 어떤 시리즈라도 변화가 있으며, 그 변화가 진행이 되던지 안되던지 고려하는 것은 그 실험을 수행하는 사람들의 예상 하에 있습니다. 

 

Also, of course, the number of experiments done is always finite, whereas the number of experiments not yet done is infinite, so an inductive argument can never achieve the absolute certainty of a piece of deductive logic.

 

물론, 당연하게도 수 많은 실험들이 항상 한정적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반면, 실행이 아직 안된 수 많은 다른 실험들도 무한정적이며, 그래서 귀납적인 논쟁이 연역적 논리의 한 부분으로 완전히 성취할 수 없게끔 되는 이유입니다.

 

At the same time, scientists are likely to favour any alternative theories that can account for both the original, confirming evidence and also the new, conflicting evidence. In other words, progress comes by way of ______________.

 

동시에, 과학자들은 대안적인 이론의 근원과, 확정짓는 근거 등을 설명하는 것을 그럴듯하게 만들었으며, 물론 그 새로운 근거도 대립하게 했습니다. 다른 말로, 과정은 ____________의 방식으로 다가옵니다.

 

 

 

① finding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cientific theories and pushing beyond them

(과학적 이론들이 존재하는 것의 한계를 찾고 그들을 압박하는 것)

 

② creating sustainable partnerships between scientists and decision-makers

(과학자들과 결정을 만드는 사람들 사이의 지속가능한 파트너쉽을 창조하는 것)

 

③ publishing research findings in the most reputable academic journals

(가장 평판이 좋은 학문적 저널속에서 발견한 연구들을 발행하는 것)

 

④ conducting scientific research generally through a proven process

(일반적으로 입증된 단계들을 통해 과학적 발견들에 착수하는 것)

 

⑤ encouraging innovation through funding from the government

(정부로 부터 받는 펀딩을 통해 혁신을 장려하는 것)

 

 

 

 

답 - 1번 ① finding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cientific theories and pushing beyond them

(과학적 이론들이 존재하는 것의 한계를 찾고 그들을 압박하는 것)

 

 

In other words, progress comes by way of finding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cientific theories and pushing beyond them.

 

 

 

 

For manufacturers, a product that is thrown away after being used, forcing the customer to keep coming back for more, creates endless profit potential; a potential first discovered in the years after World War I, when there was a great need to find new uses for the (A) abundance / lack of materials produced for the war piled high in warehouses.

 

제조자들을 위해서, 사용한 뒤 버려진 제품들을 소비자에게 다시끔 돌아가게 강제하는 것이, 더 많은, 끝없는 잠재적인 이윤을 창조해냅니다; 그 잠재력은 1차 세계대전 이후 처음으로 발견되었습니다, 막대한 필요성이 있었을 때 / 새로운 사용을 찾기 위해서 /  전쟁을 위해 창고에 높이 쌓인 생산된 재료들의 (A) abundance / lack  을 위해서

 

For example, an absorbent material made from celluloid that had been used for military bandages and gas mask filters later gained a new use as the disposable Kotex sanitary napkin.

 

예를 들면, *셀룰로이드에서 온 흡수력 있는 재료들은, 붕대, 가스 마스크 필터 등 군사적으로도 사용되었습니다 / 나중에 나온 재활용 가능한 코텍스(여성 위생용품), 위생 냅킨들로서도 새롭게 사용되었습니다.

 

*셀룰로이드 - 과거 영화 필름에 쓰던 물질

 

Manufacturers also had to figure out how to transform the wartime ethic of thrift and reuse― darning socks, keeping odd pieces of string, using tea leaves to clean carpets, and sewing rags into rugs―into a culture that embraced “throwaway habits” and the (B) hesitation / willingness to spend money on new“stuff.”

 

제조자들은 또한, 전쟁 중에 절약과 재활용을 어떻게 변환하는지 알아내려고 했습니다― 양말을 꿰매고, 불완전한 것들과, 카펫을 씻기 위해 차(茶)잎을 사용하고, 해진 천을 바느질 하는 것 등― "버리는 습관"이라는 황당한 문화 속에서 / 그리고 새로운 "물건"을 사기를 (B) hesitation / willingness 하는지 아닌지

 

During the war, the U.S. government produced posters declaring “Waste Not, Want Not.” By late 1917, the government was giving shops across the country signs to display in their windows reading, “Beware of Thrift and Unwise Economy” to help (C) encourage / restrain repetitive consumption.

 

전쟁 동안, 미국 정부는 선언을 하는 포스터들을 생산해냈습니다. "낭비하지 않고, 원하지 말라" 1917년 후반에, 그 정부는 국가를 가로질러, 상점들에게 읽도록 창문에 전시하게끔 했습니다. "절약과 현명하지 못한 경제에 깨어있어라" 라는 문구를 통해 반복적 소비를 (C) encourage / restrain 하게 돕기 위해서.

 

         (A)                            (B)                        (C)

 

① abundance    ......    hesitation      ......    encourage

② abundance    ......    willingness    ......    restrain

③ abundance    ......    willingness    ......    encourage

④ lack               ......    hesitation      ......     restrain

⑤ lack               ......    willingness    ......     encourage

 

 

abundance - 풍부

lack - 부족

hesitation - 망설임

willingness - 기꺼이 하기

encourage - 격려하다

restrain - 저지하다

 

 

답 - 3번 ③ abundance    ......    willingness    ......    encourage

 

 

 

 

 
 
The ability to record information is one of the lines of demarcation between primitive and advanced societies.
 
정보를 기록하는 능력은 원시적, 발전적 사회 사이의 경계선입니다.
 
Basic counting and measurement of length and weight were among the oldest conceptual tools of early civilizations.
 
길이와 무게를 세고 재는 것은, 옛날 문명들의 가장 오래된 도구입니다.
 
By the third millennium B.C. the idea of recorded information had advanced significantly in the Indus Valley, Egypt, and Mesopotamia.
 
기원전 3,000년경에 정보를 기록하는 것은 인더스 산맥,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문명들에게 중요한 발전적 개념이었습니다.
 
Accuracy increased, as did the use of measurement in everyday life.
 
매일 삶 속에서, 측정을 하는 것을 통해 정확도가 향상되었습니다. 
 
The evolution of script in Mesopotamia provided a precise method of keeping track of production and business transactions
 
메소포타미아 문명에서 문자의 진화는, 생산과 사업 거래를 기록하는 것의 정확한 방법을 알려주었습니다.
 
Written language enabled early civilizations to measure reality, record it, and retrieve it later.
 
문자 언어는 옛날 문명들에게 현실을 측정하고, 기록하고, 되찾아오는 것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Together, measuring and recording __________ the creation of data.
 
모두, 자료를 측정하는 것과 기록하는 것을 __________하게 창조했습니다.
 
They are the earliest foundations of datafication.
 
그들(옛날 문명)은 데이터화의 가장 빠른 토대였습니다.
 
 
 
①complicated (복잡하게)
②reversed (반대로)
③ imitated (가짜로)
④ hindered (저해하게)
⑤ facilitated (촉진되게)
 
 
답 - 5번 ⑤ facilitated (촉진되게)
 
Together, measuring and recording the facilitated creation of data.
 
모두, 자료를 측정하는 것과 기록하는 것을 촉진되게끔 창조했습니다.
 
 
 
 

 

 


안녕하세요 ^^ 오늘은
비사범대에서 동일 계열의 사범대보다 학문적으로 더 깊이 들어가는 이유를 말씀해드리려 합니다.

답은 의외로 간단합니다.

바로 총 졸업 학점 수 때문입니다.

화학교육과로 예를 들면, 화학과 관련된 전공 공부를 하게 되지만, 교직 과목들을 최소 22학점 이수해야합니다.

교직 과목은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며, 통상적으로 한 과목당 2학점입니다.

  • 교육학개론
  • 교육과정
  • 교육심리
  • 교육평가
  •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 교육철학 및 교육사
  • 교육사회
  • 교육행정 및 경영
  • 특수교육학개론
  •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
  • 학교폭력의 예방 및 학생의 이해
  • 교육실습

반면, 화학과는 총 졸업 학점 수에서 교직 22학점을 이수하지 않으니 7~11과목을 화학에 대해서 더 심도있게 들어갑니다.

그러나, 임용 공부를 하게 되면서 화학교육과가 화학과보다 개인적으로 더 많이 공부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다만, 대학 교육만 본다면, 같은 계열의 전공이어도 비사범대가 사범대보다 더 깊이 들어갑니다.

독어교육과도 예를 들자면, 독일어 통번역대학/대학원이나 독어독문학과가 단순한 독어교육과 출신보다는

상대적으로 더 잘 뽑히는 경향이 있습니다. 사실, 회사나 기업에서는 사범대 출신을 경영학과 등의 전공보다

그렇게 우대하지는 않습니다. 임용을 보고 뽑히면 회사를 그만두거나 하는 등의 이유 때문이라고 합니다.

초등특수교육과의 경우라면, 일반적으로 초등교육과보다 졸업 학점 수도 많고, 배울 과목이 더 많습니다.

초등특수교육과, 초등교육과는 초등 과목들과 교직 과목들을 공통적으로 배웁니다.

초등 국어, 초등 수학, 초등 사회, 초등 과학 등 초등 과목

말씀드린 교직과목 - 교육학개론, 교육철학 및 교육사, 교육사회 등 동일하지만

특수교육과는 여기서 지적장애 학생 교육, 자폐성장애 학생 교육 등 장애 유형별 교육 과목을 더 배워야 합니다.

제가 다닌 대학에서는 유아특수교육과 ㅡ> 유아교육과로 복수전공 하는데 3과목만 더 들으면 교원자격증이

유치원 정교사(2급), 유치원 특수교사 정교사(2급) 두 개가 취득되었습니다.

하지만, 유아교육과에서 유아특수교육과로 복수전공하면 들을게 반대로 어느정도 더 있었습니다.

한국 체육대학교에서도 특수체육교육과를 졸업하면, 체육 정교사(2급)과 특수체육 정교사(2급)

모두 2개의 교원자격증이 취득 가능합니다.

한국 교원대학교에서는 심지어 초등교육과를 전공하면서, 윤리교육과 등의 사범교과 또한 복수전공이 가능하다고 하네요.

대학교에서 존재하는 현상인데, 사범대 학생들은 필수적으로 비사범대 학과를 복수전공하고 싶어하고,

비사범대 학생들은 필수적으로 사범대로 복수전공하려고 서로 절충된다고도 하네요.

입시를 준비하는 학생분들이나 진로에 대해서 고민이 있으신 분들께 제 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 벌써 추석이네요. 행복한 한가위 되시길 바랍니다.

 

영어로 말할 때, 문장을 길~게 늘리시고 싶으시다면, 그렇게 어렵지는 않습니다 ㅎㅎ

 

한 문장을 말씀하시고 나서 등위접속사를 말하고 더 이어나가시면 됩니다.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초/중급 수준에선 등위접속사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등위접속사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And(그리고)
  • Or(혹은)
  • So(그래서)
  • But(하지만)
  • Nor(~도 아니다)
  • Yet(아직)
  • For(왜냐하면) - '위해서'라는 뜻도 있지만 '왜냐하면'이라고 쓰이기도 합니다.

이유를 설명할 때는 Because보다 더 격식적인 표현이며, 서류나 공식적인 문서에서 쓰입니다.

 

 

혹은 It ~ that 구문을 사용할 수도 있고, If, Whether 등의 다른 유형의 접속사를 사용해도 됩니다.

 

하지만, 등위접속사를 사용하는 것이 더 편하고 간단하며 일반적입니다.

 

문맥에 따라서 한 가지를 골라 말씀하신 후, 이어서 말씀하시면 됩니다.

 

꼭 정해진 것은 아닌데, 저의 경우에는 등위접속사를 사용해서 늘리는 것이 제일 좋았어요.

 

감사합니다 ^^ 행복한 추석 되세요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