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흑색입니다.

 

 

 

 

 

 

7,000만~8,500만 명의 사망자를 낳은 2차 세계대전 때 이야기입니다.

 

 

 

미 해군에게는 '콰르츠 호'라는 아이스크림 보급선이 있었답니다.

 

 

 

총 12척이 운용되었으며, 유지비로는 6,000억원이 소요되었다고 합니다.

당연하게도, 병사들의 사기진작에 효과적이었다고도 해요.

 

 

 

이탈리아의 무솔리니는

 

미 해군의 아이스크림 보급선을 보고

 

전쟁에서 패배하리라 직감했다고 합니다.

 

또한 아예 아이스크림 판매를 금지합니다.

 

아이스크림이 너무나 미국적이라

 

적국을 상징하는 음식을 팔면

 

안 된다는 것이 요지였습니다.

 

 

독일 장교들은 미군을 보고

 

전쟁 중에 달콤한 아이스크림이나

 

찾는 나약한 병사라고 욕하지만


 다르게 보면 전선에 아이스크림까지


공급하는 미군 보급에 부러움을 볼 수 있습니다.

 

 

 

 

 

 

아이스크림 보급선 '콰르츠 호'에서 일했던

 

버트 베스킨(Burt Baskin)이 전쟁이 끝나자

 

미 본토로 돌아가 매제인 어브 라빈스(Irv Robbins)와 함께

 

아이스크림 브랜드를 창시합니다.

 

서로의 베스킨과 라빈스라는 성을 합하여, 동전게임으로 먼저 올 성을 정했는데,

 

베스킨으로 정해져서 오늘날의 'Baskin Robbins'라는 브랜드 이름이 되었습니다.

 

31은 한 달 31일 내내 매일 새로운 맛의 아이스크림을

 

선사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의미입니다.

 

 

 

 

저번의 블로그에서 쓴 글이지만

 

생각나서 다시 한 번 적어봅니다.

 

감사합니다 ^^

 

 

 

 

 

 

 

대국할 때는 몰랐는데 기보를 천천히 보다보니

 

저도, AI도 잘 못둔 수가 있네요.

 

그래도 이겼습니다 ㅋㅋ

 

 

 

 
 
Lameduck  - 美 비격식 레임덕, (재선이 안 될) 임기 말기의 정치인[정부]
 
Backlash - (사회 변화 등에 대한 대중의) 반발
 
Party - 당(黨)
 
Liberal party - 진보적인 정당
 
Conservative party - 보수적인 정당
 
a two party system - 양당제
 
Democracy - 민주주의
 
Democratic party - 민주당
 
Republic - 공화국
 
Republic Party - 공화당
 
Dictatorship - 독재
 
Senate - 상원
 
Assembly - 의회
 
Administration - 행정부
 
Jury system - 배심제
 
Universal suffrage - 보통 선거권
 
Communism - 공산주의
 
Socialism - 사회주의
 
Capitalism - 자본주의
 
Slavery - 노예제
 
Ochlocracy - 중우정치
 
Mayor - 시장(市長)
 
President - 대통령
 
Government - 정부



 
 

 

 

제가 흑색입니다 ㅎㅎ

바둑이 신선놀음이라고 하죠.

바둑에 대해서 하나도 모르지만 초급 AI와 대국해봤어요.

초급이기에 줄(?)도 많지 않습니다 ㅋㅋ

바둑 배워놓으면 평생 갈 취미가 하나 더 생기는거라고도 하네요.

 

 

 

결과는 이겼습니다 ㄷㄷㅋ

 

 

 

 

1877 kam er in Calw bei Stuttgart zur Welt.

 

1877년, 한 남성이 슈트르가르트 근처의 칼프에서 탄생했습니다.

 

Er war ein Schriftsteller und Maler.

 

그는 작가이고 동화를 쓰는 일을 했습니다.

 

Mit 10 Jahren hat er schon ein Märchen geschrieben, es heißt„Die beiden Brüder".

 

10살의 나이에 그는 이미 동화를 썼는데, 그건 "두명의 형제"라고 불리었습니다.

 

Schulen waren für ihn langweilig, aber er war an Literatur interessiert.

 

그는 교육받는 것을 지루하게 여겼지만, 문학에 관심을 가졌습니다.


Heute sind seine Bücher immer noch sehr bekannt, zum Beispiel „Der Steppenwolf“,

 

현재 그의 책들은 아직도 잘 알려져 있습니다. 『초원의 늑대』, 『싯타르타 』또는 

 

„Siddhartha“ oder „Narziß und Goldmund“.

 

『나르키소스』, 그리고 『골드문트』와 같은 작품들입니다.

 

1946 bekam er den Nobelpreis für Literatur.

 

1946년에 그는 노벨 문학상을 받게 되었습니다.


* Schriftsteller : 작가 * Märchen : 메르헨, 동화 * Literatur : 문학 * Nobelpreis : 노벨상

 

① 베르롤트 브레히트

② 헤르만 헤세

③ 테오도어 폰타네
④ 프리드리히 실러
⑤ 요한 볼프강 폰 괴테

 

답 - 2번 ②헤르만 헤세

 

 

„documenta“ ist bekannt als eine der größten Ausstellungen für moderne Kunst.

 

도쿠멘타는 현대 예술가들을 위한 이름난, 큰 전시회입니다.

 

Sie findet alle fünf Jahre in Kassel statt und dauert immer 100 Tage.

 

항상 5년마다 카셀이라는 도시에서 열리고 매번 100일 동안 열립니다.

 

Erste „documenta“ gab es 1955. Die Idee zu „documenta“ hatte der Kasseler Maler Arnold Bode.

 

첫째로, 도쿠멘타는 1955년에 시작했습니다. 카셀의 화가인 아르놀트 보데라는 사람은 도쿠멘타에 대한 생각을 가졌습니다.

 

1955 zeigte die documenta Werke von Künstlern wie Pablo Picasso, Wassily Kandinsky und Paul Klee.

 

1955년에 도쿠멘타가 파블로 피카소, 바실리 칸딘스키 그리고 파울 클레와 같은 예술가들로부터 온 작품들을 보여주었습니다.

 

Schon erste „documenta“ hatte viele Besucher, deshalb organisierte Arnold Bode 1959 eine zweite Ausstellung.

 

이미 도쿠멘타가 많은 방문객들을 가지자, 그 때문에 아르놀트 보데는 1959년에 두번째 전시회를 기획했습니다.

 

Bis heute gab es 15 Ausstellungen.

 

지금껏 15번의 전시회를 가졌습니다.

 

Einige Werke aus früheren documenta-Ausstellungen kann man bis heute auf den Straßen, Plätzen und in den Parks von Kassel sehen.

 

도쿠멘타-전시회로부터 온 몇몇 작품들은 오늘날까지 카셀의 거리, 광장과 공원에서 볼 수 있습니다.

* Ausstellung : 전시회 * Werk : 작품
* Künstler : 예술가 * organisieren : 조직하다

 

 

① 5년마다 개최된다.
② 현대 미술에 대한 전시회이다.
③ Pablo Picasso가 도쿠멘타를 기획했다.
④ 오늘날까지 15회의 도쿠멘타 전시회가 있었다.
⑤ 전시품의 일부는 Kassel의 거리에서 볼 수 있다.

 

 

아닌 것을 고르라고 하고 있습니다.

 

답 - 3번 ③Pablo Picasso(파블로 피카소)가 도쿠멘타를 기획했다.

 

 

 

 

 

 
최영훈 일산연세마음상담의원 원장
 
 진료실 창밖으로 산책줄을 단 강아지들이 지나간다. 꼬리를 흔들며 세상의 냄새를 모조리 수집하려는 그들 곁을, 창틀 위 고양이는 눈만 반쯤 뜬 채 지켜본다. 강아지는 무리에 기대어 움직임 속에서 안심을 얻고, 고양이는 익숙한 햇빛 자리에 몸을 말아 평온을 찾는다. 어느 날 문득, 자폐 스펙트럼 당사자들이 이 둘 중 누구와 더 닮았느냐를 묻는 우리의 태도 자체가 잘못된 질문일지 모른다는 생각이 뇌리를 스치고 지나갔다. 닮음이 아니라 다름의 권리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진료실에서 나는 “왜 저렇게 소리를 지르죠?”라는 질문을 자주 듣는다. 그러나 소리는 공격이기보다 구조 요청일 때가 많다. 불규칙한 형광등, 알 수 없는 향, 예기치 않은 접촉 - 새로운 자극이 한꺼번에 밀려오는 순간, 세계는 그들에게 홍수처럼 넘친다. 우리가 흔히 ‘문제행동’이라 부르는 몸짓은, 침수된 방에서 물을 퍼내려는 동작과 같다. 낯선 마트 대신 익숙한 동선을 고집하고, 예고 없는 변화에 멈춰 서는 일은, 살기 위한 기술이다.

 

그럼에도 사회는 “강아지처럼 매일 밖으로 나와 무리에 적응하라”고 요구한다. 교육의 이름으로 더 큰 소음과 더 잦은 접촉을 주입하고, 버티지 못하면 약을 늘린다. 약이 필요 없는 건 아니다. 극심한 불안과 자해의 고리를 끊어 잠시 숨을 고르게 해주는 약물은 분명하게 제 몫을 한다. 하지만 약이 ‘우리 기준’에 맞추기 위한 족쇄가 되어서는 안 된다. 치료의 목표는 순응이 아니라 고통의 완화, 그리고 자기 방식의 생활을 회복하는 일이어야 한다.

 

 

나는 오늘도 보호자에게 묻는다. “산책이 꼭 필요할까요, 아니면 창가 햇빛이 더 큰 안심일까요?” 예고 가능한 시간표, 소음이 적은 공간, 질감과 향을 선택할 권리, 대화의 속도를 조절할 여유-이런 작고 구체적인 조정들이 자폐적인 삶을 덜 고통스럽게 만든다. 우리는 고양이에게 강아지의 리듬을 가르치는 대신, 고양이의 리듬을 존중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다름을 훈육의 대상으로 보지 않을 때, 비로소 그들의 세계도 -그리고 우리의 세계도- 조용히 숨을 쉬기 시작한다.

 

 

일산연세마음상담의원 원장

 

 

 

 

 

'큰 그릇은 늦게 만들어진다'는 뜻으로, 크게 될 사람은 더디게 성장한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

- ‘대기만성’의 유래삼국시대 위(魏)나라에 최염(崔琰)이라는 이름난 장군이 있었어요. 그에게는 최림(崔林)이라는 사촌동생이 있었는데, 외모도 빈약하고 출세가 늦어 주위 사람들로부터 무시를 당하기 일쑤였죠. 하지만 최염 장군은 그의 재능을 꿰뚫어 보고 이렇게 말하였어요. "큰 종이나 큰 솥은 그렇게 쉽사리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마찬가지로 큰 인물도 성공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법이다. 내가 보기에 너도 그처럼 대기만성형이다. 좌절하지 말고 열심히 노력해라. 그러면 틀림없이 네가 큰 인물이 될 것이다." 과연 그의 말대로 최림은 후일 천자를 보좌하는 삼공(三公)이라는 큰 벼슬에 이르게 되었답니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높은 산의 꼭대기에 오르는 것 처럼, 성취하기 어렵고 힘든 일들은 내려가는 하락도 힘듭니다.

 

얕은 산에 올라가면, 그만큼 내려가기도 쉬운 것처럼 말이죠.

 

교육은 본래 백년지대계(百年之大計)라고도 합니다.

 

백년 앞을 내다보는 큰 계획이라는 뜻인데

 

인스턴트와 같이 즉각적으로 결과가 나오는 것도 아니며

 

하루하루가 모여, 오랜기간이 쌓여 큰 그릇이 된다는거죠.

 

개인적으로 대기만성을 이루고 싶지는 않습니다.

 

청빈하고 가난을 즐기며 학문과 정신 수양에 정진하는 사람이 되고싶네요.

 

원래 자기 인생 자기가 사는겁니다 ㅎ

 

오늘도 각자 맡은 바의 최선을 다하기로 해요.

 

 

 

 

 

When we look in the mirror, we see some of the “instruments” necessary for choice.

 

거울을 볼 때, 우리는 선택을 하기 위해서 필요한 "수단들"을 봅니다.

 

Our eyes, nose, ears, and mouth gather information from our environment, while our arms and legs enable us to act on it.

 

우리의 눈, 코, 귀, 그리고 입은 우리의 환경으로부터 정보를 모읍니다 / 팔과 다리가 그것에 작용하는걸 가능하게 하는 동안에

 

We depend on these capabilities to effectively negotiate between hunger and satiation, safety and vulnerability, even between life and death.

 

우리는 이 능력들에 의존적입니다 / 효과적으로 협상하는 것을 / 배고픔과 포만감, 안전과 불안정성, 그리고 심지어 삶과 죽음에까지

 

Yet our ability to choose involves more than simply_________________. Your knee may twitch if hit in the right place by a doctor’s rubber mallet, but no one would consider this reflex to be a choice.

 

아직, 우리의 선택하는 능력들은 단순히_____________하는  그 이상입니다 / 어쩌면 여러분의 무릎이 옳바른 장소에서 *까닥하여 칠지도 모릅니다 / 의사의 고무 망치에 의해 / 하지만 아무도 이 반사작용이 선택되어진 것이라고 여기지 않습니다.

 

*의학적으로, 앉은 상태에서 무릎을 치면, 반사작용으로 다리가 튀어오르게 됩니다. 화상을 당할 때도 반사작용을 하는데, 마찬가지로, 그런 자극들은 뇌까지 도달하지 않고, 척추의 중추신경계에서 받아들여져 의식적인 명령 없이 자동적이고 빠르게 반응하는 무의식적 현상입니다. 즉, 이러한 반사작용은 의식적으로 선택해서 하지는 않는다는거죠.

 

To be able to truly choose, we must evaluate all available options and select the best one, making the mind as vital to choice as the body.

 

진정으로 선택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가능한 모든 옵션들을 평가해야만 하고, 그 중에서 가장 좋은 것을 선택해야합니다 / 이 때, 신체만큼이나 마음의 선택 또한 중요합니다.

 

 

 

 

①reacting to sensory information

(감각적 정보에 반응하는 것)

 

②giving into your utmost desires

(극한의 욕망에 굴복하는 것)

 

③selecting what is most beneficial

(가장 이득이 되는 것을 고르는 것)

 

④searching for instant gratification

(즉각적인 만족감을 찾는 것)

 

⑤suppressing your natural instincts

(여러분의 자연적인 직관을 금하는 것)

 

 

 

답 - 1번 ①reacting to sensory information

(감각적 정보에 반응하는 것)

 

Yet our ability to choose involves more than simply reacting to sensory information.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