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in psychology have reported cases in which competitive incentives resulted in lower task effort, and their focus was on the psychological underpinnings of the reduction in motivation.

 

심리학은, 경쟁을 하는 인센티브가, 낮은 업무 노력과 그들의 동기부여 감소라는 심리학적 기초를 만들어낸다는 사례들을 기록했다.

 

For example, competition presents an inevitable conflict between the motivation to achieve one’s personal goal and the

①desire to maintain good relationships with others.

 

예를 들면, 경쟁을 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대립을 선물한다. 개인적인 목표를 달성하는 동기부여와 다른 사람들과 좋은 인간관계를

유지하고 싶어하는 ①desire(욕망) 사이에서

 

When the maintena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s important, with their counterparts in particular or with others generally, competitors experience an ② internal conflict that can harm their desire to achieve their goal and taint the good feeling brought about by winning.

 

특히 중요한 상대나 다른 사람들과 상호간의 인간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할 때, 보통 경쟁자들은 그들의 목표를 달성하는 욕망에 해를 끼칠 수 있으며 승리 함으로서 얻는 좋은 감정이 더럽혀지는 ② internal conflict(내적 갈등)을 경험한다.

 

즉, 경쟁 속에서 목표를 달성하고 싶은데, 그렇게 되면 경쟁자들은 목표를 달성할 수 없게 되고, 승리한 자신의 감정이 더럽혀지는

 

내적갈등을 경험한다는 뜻입니다.

 

Exline and Lobel found that the perception of oneself as a target for upward social comparison often makes people ③ uncomfortable.

 

Exline과 Lobel은 스스로 상향에 사회적으로 비교되는 것은 ③ uncomfortable(불편하다)고 느낀다는 것을 발견했다.

 

When they believe that others are making envious comparisons with them, people feel uneasiness, distress, or sorrow. Feelings of guilt, an emotion generally associated with high motivation for goal-achievement, lead to ④ stronger(더 강한) motivation and performance in the pursuit of competitive goals.

 

사람들이 스스로 상향 계층과 비교가 이루어진다고 믿을 때, 불편함, 고통이나 슬픔을 느낀다. 일반적으로 목표 성취에 대한 높은 동기부여와 관련이 있는 감정인 죄책감은 경쟁적 목표를 추구할 때의 동기와 성과를 ④ stronger(더 강하게) 만든다.

 

Consequences of this emotional state include lower task motivation in a competition and preferences for more cooperative and altruistic outcomes, such as ⑤diminishing the significance of the outcome or sharing the winner’s reward.

 

이 감정적인 상태의 결과들은, 경쟁 상황에서의 업무 동기 저하, 그리고 결과의 중요성을 줄이거나 승자의 보상을 나누는 것과 같은 더 협력적이고 이타주의의 결과에 대한 선호가 포함된다.

 

 

 

 

심리학에서, 인센티브를 받는 사람들의 심리적인 사례들을 기록했다고 하네요.

 

그냥 받는 인센티브가 아니라, 경쟁을 하는 인센티브는 받는 사람들로 하여금

 

더 낮은 동기부여와 수행력을 기록했으며, 경쟁이기 때문에 대립이 필수적이었고

 

개인적으로 목표를 달성하는 동기부여와

 

경쟁하는 사람들과 좋은 인간관계를 유지하고 싶어하는  ①desire(욕망) 사이에서

 

② internal conflict(내적 갈등) 을 보인다고 하네요.

 

또 자신을 사회 상향 계층과 비교하는 것은 자신이 ③ uncomfortable(불편하다)고 느끼게

 

한다고 합니다. 죄책감이라는 느낌은 일반적으로 강한 동기부여와 관련이 있는데

 

경쟁적 목표를 추구할 때는 동기와 성과를

 

④ stronger(더 강하게) ㅡ> weaker(더 약하게) 이끈다고 하네요.

 

경쟁보다는 더 많은 협력과 이타적 결과를 위해,

 

결과의 중요성을 줄이거나( ⑤diminishing 감소시키는 것)승자의 보상을 공유함으로서 느끼는

 

더 협력적이고 이타주의의 결과에 대한 선호가 포함됩니다.

 

상향적, 경쟁적 사회에서의 내적갈등을 적어냈습니다.

 

아마 4번과 5번이 혼동되셨을텐데요

 

4번은 이 글의 취지 중 하나인 상향과 경쟁의 단점이라는 문맥과

 

상반되게 stronger라는 장점을 말하고 있습니다.

 

5번의 경우에는 결과의 중요성을 줄여야( ⑤ diminishing)한다고 되어있죠

 

 

 

답은 - 4번 ④ stronger(더 강한) 자신이 상향 계층과 비교될 때 동기부여와 수행력은 강해지지 않고

 

오히려 더 약해진다는 뜻입니다.

 

 

 

'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수능 영어 37번 문제  (0) 2025.06.21
2025 수능 영어 20번 문제  (0) 2025.06.20
2025 수능 영어 32번 문제  (0) 2025.06.18
2025 수능 영어 23번 문제  (0) 2025.06.18
2025 수능 영어 22번 문제  (0) 2025.06.18

 

 

Education, at its best, teaches more than just knowledge.

 

최고의 교육은 단순한 지식보다 더 많은 것을 가르친다.

 

It teaches critical thinking: the ability to stop and think before acting, to avoid succumbing to emotional pressure.

 

교육은 비판적 사고를 가르친다: 행동하기 전에 멈춰서 생각하는거나 감정적인 압박에 굴복하는 것을 피하도록

 

This is not thought control. It is the very reverse: mental liberation

 

이것은 생각을 통제하는게 아니다. 오히려 완전히 반대의 뜻으로: 정신적 자유라고 한다.

 

Even the most advanced intellectual will be imperfect at this skill.

 

심지어 가장 지적인 사람조차도 이 기술에 완벽하지 않을 것이다.

 

But even imperfect possession of it ____________________of being 'stimulus-driven', constantly reacting to the immediate environment, the brightest colours or loudest sounds.

 

하지만 불완전하게라도 그것(정신적 자유)을 소유하는 것은 인접한 주변 환경, 가장 밝은 색이나 가장 큰 소리에 끊임없이 반응하면서 '자극을 유도하는 것'에 대한____________________을 하게 한다.

 

Being driven by heuristic responses, living by instinct and emotion all the time, is a very easy way to live, in many ways: thought is effortful, especially for the inexperienced.

 

체험적 반응에 의해 유도되는 것, 항상 본능과 감정으로 사는 것은 여러 면에서 살기에 매우 쉬운 방법이며, 생각은 노력을 필요로 하고, 경험해보지 않은 것에는 특히나 그렇다.

 

But emotions are also exhausting, and short-term reactions may not, in the long term, be the most beneficial for health and survival.

 

하지만 감정도 물론 지치게 되고, 단기적인 반응들은 장기적으로 볼 때 건강과 생존을 위해 가장 유익한 것이 아닐지도 모른다.

 

Just as we reach for burgers for the sake of convenience, storing up the arterial fat which may one day kill us, so our reliance on feelings can do us great harm.

 

우리가 편리함을 얻으려고 버거에 손을 뻗어, 언젠가 우리의 목숨을 앗아갈지도 모르는 동맥 지방을 축적하는 것 처럼, 우리가 감정에 의존하는 것은 우리에게 막대한 해를 끼칠 수 있다.

 

 

 

 

 

교육은 비판적 사고를 가르치는데, 이는 정신적 자유를 주기도 한다.

 

비판적 사고는 자극으로 인해 이루어지는

 

'자극-기반(stimulus-driven)' 삶에서 또한

 

해방시켜줍니다.(frees a person from the burden)

 

자극과 본능만으로 살아가기는 쉽지만,

 

이는 장기적으로 건강과 생존에 해를 끼칠 수 있다.

 

생각은 경험이 부족한 사람들에게는 어려울 수 있지만,

 

감정에만 의존하는 삶은 더욱 피로를 초래할 수 있다.

 

교육은 단순히 학문적 성취를 넘어서, 비판적 사고를 통해

 

감정과 본능에만 의존하지 않는 삶을 살 수 있게 해준다.

 

 

 

 

 

1번 - intensifies people's danger(사람들의 위험을 강화한다)

본문에서는 사람들의 위험을 강화한다기 보다는, 정신적 자유를 강화한다는 뜻이다.

 

2번 - enhances our understanding(우리의 이해를 향상시킨다)

우리의 이해를 향상시키는 것과 정신적 자유는 다른 개념이다.

 

3번 - frees a person from the burden(짐으로부터 사람을 해방시킨다)

정신적 자유를 갖는 것은 감정이라는 짐으로부터 사람을 해방시킨다는 본문과 일치한다.

 

4번 - allows us to accept the inevitablitiy(불가피함을 우리가 받아들일 수 있게 한다.)

본문에 정신적 자유의 장점들이 나왔지만, 불가피함은 언급되지 않고 있다.

 

5번 - requires one to have experience(사람이 경험하도록 한다)

경험에 비중이 있다기 보다는 우리가 감정을 따르지 않고 정신적 자유를 누리면

어떠한 이득이 있을지 얘기하는 것이다.

 

 

답 - 3번

 

 

2025학년도 수능 영어 최고난이도 지문이라고 한다.

 

 

'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수능 영어 20번 문제  (0) 2025.06.20
2025 수능 영어 30번 문제  (0) 2025.06.19
2025 수능 영어 23번 문제  (0) 2025.06.18
2025 수능 영어 22번 문제  (0) 2025.06.18
2025 수능 영어 21번 문제  (0) 2025.06.17

 

 

The arrival of the Industrial Age changed the relationship among time, labor, and capital.

 

산업시대의 도래는 시간, 노동, 자본간의 관계를 바꾸었습니다.

 

Factories could produce around the clock, and they could do so with greater speed and volume than ever before.

 

공장들은 쉴 새 없이 생산할 수 있었고, 공장들은 전보다 훨씬 빠르고 양도 많게 만들어냈습니다.

 

A machine that runs twelve hours a day will produce more widgets than one that runs for only eight hours per day

 

하루에 12시간을 가동하는 기계는 하루에 8시간 가동했던 기계보다 제품을 더 많이 생산했습니다.

 

and a machine that runs twenty-four hours per day will produce the most widgets of all.

 

그리고 하루에 24시간 가동하는 기계는 대부분의 제품 전부를 생산했습니다.

 

As such, at many factories, the workday is divided into eight-hour shifts, so that there will always be people on hand to keep the widget manchines huming

 

그런 공장들에선 기계가 항상 사람손에 작동되기 위해 근로일이 8시간 교대근무로 나뉘어졌습니다.

 

Industrialization raised the potential value of every single work hour - the more hours you worked, the more widgets you produce, anad the more money toy made - and thus wages became tied to effort and production.

 

산업화는 매 근무 시간의 잠재적 가치를 끌어올렸습니다 - 많이 일할수록, 많은 제품을 생산할수록, 많은 돈이 만들어집니다 - 그리고 임금은 노력과 생산량에 따라 받는 것으로 바뀌었습니다.

 

Labor, previously guided by harvest cycles, became clock-oriented and society started to reorganize around new principles of productivity.

 

이로써, 수확 주기의 근로는, 시간 주기의 근로로 바뀌었으며 사회는 생산의 새로운 규율에 따라 다시 재조직되기 시작되었습니다.

 

 

 

산업화가 도래하면서 시간 주기의 교대 근로로 바뀌었으며 그 예를 설명하는 글입니다.

 

 

 

 

답은 1번 - shift in the work-time paradigm brought about by industrialization(산업화가 가져온 교대 근무의 전형적인 예)

 

 

*주요 어휘

 

paradigm - 전형적인 예

*capital - 자본

so that - ~하기 위하여

 

 

*Capital - 자본이란 뜻이며 자본주의를 말할 때 Capitalism이라고 표현합니다.

반대로 Commune이라는 공동체라는 뜻은 Communication(의사소통)이나 Community(지역사회)도 되지만

Communism이라는 공산주의라는 뜻도 됩니다.

Society라는 사회라는 뜻 또한 Socialism이라는 사회주의라는 뜻도 됩니다.

 

 

참고하세요.

 

 

'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수능 영어 20번 문제  (0) 2025.06.20
2025 수능 영어 30번 문제  (0) 2025.06.19
2025 수능 영어 32번 문제  (0) 2025.06.18
2025 수능 영어 22번 문제  (0) 2025.06.18
2025 수능 영어 21번 문제  (0) 2025.06.17

 

 

 

The ability to understand emotions - to have a diverse emotion vocabulary / and to understand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emotion - is particularly relevant in group settings.

 

감정을 이해하는 능력 즉, 다양한 감정 어휘를 가지고 있고 감정의 원인과 결과들을 이해하는 능력은 집단 환경에서 특히 중요하다.

 

Individuals who are skilled in this domain are able to express emotions,  feelings and moods accurately / and thus, may facilitate clear communication between co-workers.

 

***이 분야에 능숙한 사람들은 감정, 느낌, 그리고 기분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으므로, 동료들 간의 명확한 의사소통을 촉진할 수 있다.

 

Furthermore, / they may be more likely to act in ways that accommodate their own needs as well as the needs of others(i.e. cooperate).

 

게다가, 그들은 자신의 필요 뿐 아니라 타인의 필요도 수용하는 방식으로(협력)할 가능성이 더 높을 수도 있다.

 

In a group conflict situation, for example, a member with a strong ability to understand emotion / will be able to express how he feels about the problem and why he feels this way

 

예를 들어, 집단 상황 속에서 감정을 이해하는 강력한 능력을 지닌 구성원은 문제에 대해 자신이 어떻게 느끼는지 왜 그렇게 느끼는지를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He also should be able to take the perspective of the other group members and understand why they are reacting in a certain manner.

 

또한 그는 집단 구성원들의 관점을 취하여 그들이 왜 특정한 방식으로 반응하는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ppreciation of differences / creats / an arena for open communication and promotes constructive conflict resolution / and improved group functioning.

 

다름에 대한 이해는 열린 의사소통을 위한 장을 만들고, 건설적인 갈등 해결과 집단 기능 향상을 촉진한다.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이해하는 것은 집단 내의 소통과 협력을 이끌어낸다는 글입니다.

 

 

 

 

정답 - 2번 (감정 이해 능력은 집단 내 원활한 소통과 협력을 촉진한다)

 

 

* 주요 어휘

 

consequence - 결과, 중요함

accurate - 정확한

thus - 따라서

facilitate - 가능하게 하다

co-worker - 직장 동료

Furthermore - 게다가

accommodate - 공간을 제공하다, 수용하다

as well as - ~도 마찬가지로

perspect - 관점

arena - 무대

 

 

'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수능 영어 20번 문제  (0) 2025.06.20
2025 수능 영어 30번 문제  (0) 2025.06.19
2025 수능 영어 32번 문제  (0) 2025.06.18
2025 수능 영어 23번 문제  (0) 2025.06.18
2025 수능 영어 21번 문제  (0) 2025.06.17

 

 

The position of the architect rose during Roman Empire as architecture / symbolically became a particularly important political statement

 

***로마제국 동안 건축가의 지위는 상승하였습니다. / 건축물들이 중요한 정치적 성명을 상징했기 때문에.***

 

Cicero classed the architect with the physician and the teacher and Vitruvius spoke of "so great a profeesion as this."

 

시세로는 건축가를 의사, 교사와 같은 클래스로 분류하였으며 Vitruvius는 "매우 훌륭한 직업"이라고 말했다.

 

 

***로마제국 동안에는 건축물들이 정치적으로 중요한 성명을 상징했기에, 시세로는 건축가들을

의사, 교사와 같은 클래스로 분류했습니다.***

 

 

Marcus Vitruviius Pollio, a practicing architect during the rule of Augustus Caesar / recognized that architecture requires both practical and theoroetical knowledge / and he listed disciplines he felt the aspiring architect should master

 

 

***Augustus Caesar의 치세 동안 Marcus Vitruviius Plio라는 건축가는 / 건축물들이 실용적이고 이론적인 것 두 가지 모두를 요구한다는 것을 알아차렸고 /  그는 포부가 큰 건축가들이 익혀야만 하는 규율들을 나열했습니다.***

 

 

literature and writing, draftsmanship, mathematics, history, philosophy, music, medicine, law and astronomy - a curriculum that still has much to recommend it.

 

***문학과 쓰기, 도자기 기술, 수학, 역사, 철학, 음악, 의학, 법 그리고 천문학

이렇게 교과과정을 추천했습니다.***

 

 

All of this study was necessary, he argued, / because arichitects who have aimed at acquiring manual skill without scholarship / have never been able to reach a position of authrority to correspond to their plans, / while those who have relied only upon theories and scholarship were obviously "hunting the shadows not the substance"

 

***이 모든 학문들은 꼭 필요하다고 그는 주장했습니다. / 왜냐하면 이론 없이 손 기술만 얻는 것을 목표로 하는 건설가들은 절대 그들의 목표에 상응하는 권위와 지위에 닿을 수 없기 때문에 / 이론과 학문에만 기대는 것도 "hunting the shadows not the substance" 하는 동안에***

 

 

 

 

로마제국 동안에, 건축가들은 건축물들의 가치로 인해 의사, 교사와 같은 클래스로 분류될 정도였다.

 

건축물들이 정치적으로 중요한 성명을 상징했기 때문에.

 

카이사르의 치세(통치하는 기간)동안에 Marcus Viturviius Plio라는 건축가는

 

건축물들을 손 기술로만 만들면 권위와 지위로 닿을 수 없고,

 

문학과 쓰기, 도자기 기술, 수학, 역사 등의 이론적, 학문적 교과과정을 거쳐야만

 

권위와 지위에 닿을 수 있는데, "hunting the shadows not the substabce" 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권위와 지위에 도달하지 못한다고 말했다.

 

즉, 본질이 아닌 그림자만을 쫓는(hunting the shadows not the substance)

 

이론과 학문만 닦는 것 또한.

 

답은 - 3번 pursuing the ideals of architecture without the practical skills

(실용적 기술 없이 건축물의 이상만 추구하는 것)

 

 

'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수능 영어 20번 문제  (0) 2025.06.20
2025 수능 영어 30번 문제  (0) 2025.06.19
2025 수능 영어 32번 문제  (0) 2025.06.18
2025 수능 영어 23번 문제  (0) 2025.06.18
2025 수능 영어 22번 문제  (0) 2025.06.18

 

국경 하나 사이로 엄청난 타일 개발 차이를 보여주는 중

 

이 비옥한 땅이 보이는가

 

이때 필요한건 뭐? ㅎㅎ

 

정★복

 

사실상 소총병 러쉬인데 영국 엘리자베스 고유 유닛 레드코트로 대체되어서 그렇게 러쉬감 ㄱㄱ

 

총 6개의 도시를 점령하고 겜 종료 ㄷ.ㄷ; 누가 문명4를 어렵다고 했던가 ㅋ

 

물론 저번의 스탈린은 너무 압도적이였음

 

앞으로 어떻게 운영할지 고민하는 것 부터가 문명의 재미에 빠졌다는 증거 ㅎㅎ

 

 

2023년, 그때 서이초 사건이 벌어졌을 때, 필자의 삶에는 어떤 일들이 있었을까?

 

그 해는 꼭 유달리 국가적으로 사건 사고가 많아서 국민분들이 힘들어하신다는

 

뉴스까지 나올 정도였다. 특히, 대표적으로 교육계에는 서이초 사건이 있었다.

 

좋은건지 안좋은건지는 몰라도, 필자는 후에 대한민국 사회에서 유명인이자 화제인물이 되어있었다.

 

무슨 상황 때문에 그랬을까?

 

우선, 20219. 그 때가 시초였다. 외할아버지께서 돌아가시면서 외할머니만 남게 되셨는데

 

혼자 잘 지내시다가 그만 혈당 때문에 의식을 잃고 쓰려지셨다.

 

모두 요양원에 보내자고 했지만 우리 어머니께서 만큼은 자신이라도 모시겠다고 하셨다.

 

그런데 생각보다 모시기 쉽지 않으셨는지 다소 신경질적이게 되셔서 나와도 많이 다투기도 하였다.

 

 

어머니와 다툰 내용이 이 정도일 만큼이고, 주위에서도 차라리 혼자 나와서 살라고 하셨다.

 

물론, 그 후의 내 인생이 어떻게 굴러가리라고는 상상조차 못한채.

 

 

일단 선수금 천만원에 할부 2천만원 정도. 합해서 3천만원 주고 구매한 신형 아방이.

 

차 없이 20년을 넘게 살아온 우리 가족의 발을 담당할 귀중한 차였다.

 

그 후, 필자는 여러 사람들의 조언대로 원룸을 구해서 밖으로 자취를 시작했다.

 

태어나서 4번째 자취였다.

 

자취를 해보니 자연스레 약을 먹기도 하고 안먹기도 하는 상황도 벌어졌고,

 

20kg가 빠졌었으며

 

대화할 상대 또한 없어졌기에 필자의 멘탈은 서서히 기울어져갔다.

 

이를 여름방학부터 캐치한 필자의 근무 학교에서는

 

개학일이 다가올 때 계약을 해지하였다.

 

그리하여 이 아반떼는 비닐조차 뜯지 않은채 친척 동생에게 팔게 되었다.

 

 

서이초 광화문 집회인데 필자도 참석했었던 기억이 난다.

 

물론, 그때는 자취 시작하고 짐 나른지가 얼마 안되어서 집에 검은 옷이 없었다.

 

아쉬운대로 검은 양복을 입고 갔더니 좀 튀었던 것 같다.

 

카메라가 비추는 것 같고 뭔가 쌔해서 지하철 역을 들어가는데

 

당황스러워서 그런건지 역이 오는 칸을 못찾겠어서

 

그냥 택시를 타고 오는데 옆 차선으로 가던 어떤 차가 종이에

 

'Are you ok?' 라고 왼쪽 문에 붙여놓아서 내가 보이는 쪽으로 갔었다.

 

느낌은 더욱 쌔해졌다.

 

 

그 후 자취방에서 쇼핑을 엄청나게 해댔으며

 

자취를 시작하고 총 2천만원을 잃게 된다.

 

그 후 10월 말 쯤에 다시 본가로 들어가게 되었고, 서서히 회복해서

 

지금은 관리가 가능할 정도이다.

 

20237~9월의 회한이랄까 내 인생에서 다신 없을 순간이었다.

 

물론, 좋은 쪽이던 안좋은 쪽이던 보통 사람들이 겪기는 어려운 일들 말이다.

 

지금 와서 생각하면, 그 때 할머니를 모시지 않았으면 지금 난 어떻게 살고 있었을까?라는

 

의문만이 남아있을 뿐이었다.

 

궁금해 하실지는 모르겠는데 지금 말씀드리고 싶은건

 

그 국가적 상황에서 필자의 상황은 이러했다는 것이다.

 

1학급에서 전일제 학생 1명을 포함한 10명의 다소 힘든 학급을 운영했으며

 

외할머니로 인해 혼자 자취하는 상황이 벌어졌으며

 

그로인해 필자의 건강이 안좋아져서 멘탈이 서서히 조금 기우는데

 

그 국가적 상황에 필자는 이런 상황이었다는 것을, 그랬던 과정과 이유를

 

아시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에 글 올려본다.

 

 

 

 

'사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故 제주 교사 추모 및 교권보호 대책 요구 전국교원 집회  (0) 2025.06.14
페널티킥  (0) 2025.06.07
뜸했던 이유  (0) 2025.05.19
한국교총  (0) 2025.05.03

 
 

어쩌다 학교 현장이 배움의 터가 아닌 비극의 장이 되었나요
 
마음으로나마 응원하겠습니다.
 
 
 

'사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때 그 여름, 무슨 상황이었을까?  (0) 2025.06.16
페널티킥  (0) 2025.06.07
뜸했던 이유  (0) 2025.05.19
한국교총  (0) 2025.05.03



 

행복은 작습니다.

거창하고 큰 것에서 찾지 마세요.

멀리 힘들게 헤매지 마세요.

비록 작지만, 항상 당신 눈앞에 있답니다.

 

 

행복은 이기적입니다.

자신을 돌보는 사람만이 가질 수 있습니다.

남의 시선 따위는 무시해 버려요.

스스로 행복하지 않으면

아무도 도울 수 없답니다.

 

 

행복은 연습입니다.

그냥 주어지는 행운의 습관이 아닙니다.

부지런히 노력하고 연습해야

얻을 수 있는 열매입니다.

가는 길은 만 갈래지만 방법은 하나랍니다.

 

 

행복은 투자입니다.

미래가 아닌 현재를 위해 남김없이 투자하세요.

지금 행복하지 않으면 내일도 마찬가지입니다.

오늘을 온전하게 쓸 수 있어야 한답니다.

 

 

 

 

 

행복은 공기입니다.

때로는 바람이고, 어쩌면 구름입니다.

잡히지 않아도 느낄 수 있고,

보이지 않아도 알 수 있답니다.

 

 

행복은 선물입니다.

어렵지 않게 전달할 수 있는 미소이기도 하고,

소리 없이 건네 줄 수 있는 믿음이기도 합니다.

가장 달콤한 포옹이랍니다.

 

 

행복은 소망입니다.

끝없이 전달하고픈 욕망입니다.

하염없이 주고 싶은 열망입니다.

결국엔 건네주는 축복입니다.

 

 

행복은 당신입니다.

지금 이 순간 존재하는 당신입니다.

 

 

 

소식받기 하시고 매일 좋은생각 하세요^^

▶ 마음의 좋은글 ◀ 누르시면 이동합니다.

▶ 소식받기 클릭 ◀ 누르시면 이동합니다.

 

==============================

 

☞ 보고또보는 명언/좋은글귀 모음 ☜

 

1. 하루를 시작하는 아침의 한 줄

https://me2.do/G3btarIk

 

2. 인연을 지키는 7가지 방법

https://me2.do/5W8agDgV

 

3. '진정으로 원하는 것' 찾는 7가지 방법

https://me2.do/GeMY8HFA

 

4. 혜민스님의 좋은말씀

https://me2.do/5Ltf09o4

 

5. 부드럽게 거절하는 7가지 방법

https://me2.do/xm8fNTQY

 

 

 

 

여러분들께 항상 좋은글귀 좋은생각을 드리고 싶은 "마음의 좋은글" 입니다.

혹시라도 궁금하실 분이 계실까봐 자기소개글을 남겼답니다.

제 소개글을 보시고 싶으신분들은 카테고리에서 "저를 소개할게요" 카테고리를 눌러주세요. ^^

 

 

출처 : https://fineword.tistory.com/m/248 행복이란?

 

행복이란?

행복은 작습니다.거창하고 큰 것에서 찾지 마세요.멀리 힘들게 헤매지 마세요.비록 작지만, 항상 당신 눈앞에 있답니다. 행복은 이기적입니다.자신을 돌보는 사람만이 가질 수 있습니다.남의 시

fineword.tistory.com

 

 

'좋은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상에 버릴 사람  (0) 2025.08.14
파란만장한 생애  (0) 2025.07.10
전라북도 교육청 공모전 최우수상  (0) 2025.06.23
우유 한 잔의 가치  (0) 2025.06.12
행복은 마음먹기에 달려있다.  (0) 2025.06.08

 

 

19세기 미국, 정확하게는 1880년 여름,

 

가가호호를 방문해서 이것저것을 파는 가난한 고학생 젊은이가 있었습니다.

 

그렇게 하루 종일 방문판매를 다녔고, 저녁이 되었을 때에는 지쳤고, 배가 고팠습니다.

 

주머니에는 다임(10센트) 동전 하나 밖에는 없었고,

 

그것으로는 적당한 것을 먹을 수도 없었습니다.

 

다음 집에 가서는 먹을 것을 좀 청해 봐야지 하면서 발걸음을 옮겼고, 그 집문을 두드렸습니다.

 

이윽고 문이 열리고, 예쁜 소녀가 나왔습니다.

 

젊은이는 부끄러워서 배고프다는 말을 못했고 다만 물 한잔만 달라고 했습니다.

 

그러나 그 소녀는 이 사람이 배가 고프다는 사실을 알았고, 그래서 큰 컵에 우유 한 잔을 내왔습니다.

 

젊은이는 그 우유를 단숨에 마셨고, 새로운 힘이 나는 듯 했습니다.

 

그리고는 얼마를 드려야 하냐고 물었습니다.

 

소녀는 그럴 필요가 없다고,

 

'엄마는 친절을 베풀면서 돈을 받지 말라고 하셨다'고 말했습니다.

 

젊은이는 이 말에 큰 깨우침을 얻었습니다.

 

그로부터 십 수 년이 지난 후, 그 소녀는 중병에 걸렸고, 그 도시의 병원에서는 감당 할 수 없는 병이라고 했습니다.

 

다행히 병원의 의사는 큰 도시의 전문의를 불러오면 고칠 수 있다고 했고,

 

그래서 오게 된 의사는 하워드 켈리(1858-1943년) 박사,

 

그 소녀에게 우유 한 잔을 얻어마셨던 바로 그 젊은이였습니다.

 

그때 방문 판매를 했던 그 고학생 하워드 켈리는 산부인과 분야에서는

 

독보적인 존재로 명문 존스홉킨스 의과대학의 창설멤버이기도 했습니다.

 

하워드 켈리 박사는 환자를 보고 한 번에 그녀임을 알아보았고,

 

지금까지 개발된 모든 의료기술을 동원해서 그녀를 치료했습니다.

 

결국 부인과 질환으로 상당히 힘든 케이스였음에도 불구하고 마침내 치료에 성공했습니다.

 

하워드 켈리 박사는 치료비 청구서를 보냈습니다.

 

퇴원할 때가 되자, 환자는 자신의 병이 치료된 것에 대한 기쁨보다 병원비 걱정이 앞섰습니다.

 

도대체 병원비가 얼마나 될까? 앞으로 평생을 벌어도 모자라지는 않을까? 를 걱정하고 있는데,

 

하워드 켈리는 병원비 청구서를 환자에게 전할 때 청구서 귀퉁이에 이렇게 적었습니다.

 

 당신의 치료비는 1880년 늦은 봄 어느 날, 한 잔의 우유값으로 이미 받았습니다.”

 

 그 옛날, 자신에게 우유 한잔의 친절을 베풀어준 소녀가 환자였고, 그 소녀를 알아본 하워드 켈리박사는 그 소녀의 친절함을 잊지 않고 보답한 것입니다.

 

 친절은 부메랑과 같은 것입니다. 내가 베푼 친절은 누군가에게 행복이 되고, 또다시 내게도 행복으로 돌아옵니다.

 

따라서 항상 선행(善行)의 중심에 서 있도록 모두가 최선(最善)을 다하는 삶이되기를 소망(所望)합니다.

 

출처 : https://k5696.tistory.com/m/471?category=2415666

 

우유 한잔의 치료비

우유 한잔의 치료비 19세기 미국, 정확하게는 1880년 여름, 가가호호를 방문해서 이것저것을 파는 가난한 고학생 젊은이가 있었습니다. 그렇게 하루 종일 방문판매를 다녔고, 저녁이 되었을 때에

k5696.tistory.com

출처 : 우유 한잔의 선행(善行):상주시민뉴스

 

≪상주시민신문≫ 우유 한잔의 선행(善行)

상주문화원장 김 철 수 박사1889년에 세워진 존스 홉킨스병원(Johns Hopkins Hospital)은 20년 동안 연속 미국 병원 랭킹 1위를 차지하고 있는 명문 병원이며, 20

www.sjpeople.kr

 

'좋은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상에 버릴 사람  (0) 2025.08.14
파란만장한 생애  (0) 2025.07.10
전라북도 교육청 공모전 최우수상  (0) 2025.06.23
행복이란?  (0) 2025.06.14
행복은 마음먹기에 달려있다.  (0) 2025.06.08

+ Recent posts